송도 고객님의 대화면 하이엔드 하이파이,홈시어터 시스템

송도 고객님의 대화면 하이엔드 하이파이,홈시어터 시스템
이번 설치기는 인천 송도에 거주하시는 고객님의 하이파이,홈시어터 설치기 입니다. 고객님께서는 송도신도시에 주상복합 팬터하우스에 입주하셨고 복층2층에 전용룸을 만드셨습니다.
15평정도의 전용룸으로 하이파이 음악 감상과 홈시어터 영화감상을 주목적으로 만드셨습니다.
스피커는 B&W의 최상위 모델인 800D와 B&W 센터,우퍼,리어 스피커로 구성하였습니다. 하이파이는 메킨토시 앰프를 중심으로 구성하였고 AV는 데논 A1HD와 A1UD를 중심으로 설치해 드렸습니다.
기타 LP음악감상을 위한 턴테이블 프로젝터 스크린 시스템까지 모두 구성하셨습니다.
B&W 800D 스피커
Bowers & Wilkins는 1966년에 존 바워즈 씨에 의해서 설립된 영국의 스피커 메이커로 창립 후 지난 39년 동안 항상 최신 스피커 기술을 선도하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예를 들어, 별도의 하우징에 장착된 트위터(Tweeter) ,케블라(Kevlar?)나 코벡스(Cobex™) 재질을 진동판에 채용한 유닛 , 캐비닛 보강을 위해 적용된 고밀도의 매트릭스(Matrix?) 구조, 외부 유닛에 분리 수납된 크로스오버 등의 혁신적인 기술이 모두 B&W가 처음으로 시도한 것입니다.
전세계 스피커 업계를 리드하는 B&W의 명성은 오늘날 클래식 음반 중 80%가 B&W 스피커를 모니터로 사용해 제작하고 있다는 사실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시대를 앞서가는 B&W 스피커의 디자인은 오리지널 Nautilus™ 스피커와 Nautilus™ 801 스피커가 영국 디자인 협회에서 밀리니엄 프로덕트로 선정되어 그 우수성을 입증한 바 있습니다.
B&W의 새로운 800 시리즈는 초경질의 다이아몬드를 트위터 돔으로 사용하였습니다. 사치스럽게 보일 수도 있지만 이 것은 B&W사의 최고의 스피커를 향한 열정 입니다. 무한 강도, 무 중량의 이상적인 트위터 돔에 가장 가까운 소재가 바로 다이아몬드인 것입니다. 다이아몬드 트위터는 완벽한 피스톤 운동으로 지금까지 경험해보지 못했던 청명한 사운드를 들려줄 것입니다.
최근 비약적으로 향상된 제조 기술 덕분에 전엔 생각 치 못했던 다이아몬드 또한 믿을 수 있는 품질과 여러 형태로 만들어 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다이아몬드는 정말 신비의 물질입니다.
어떠한 화학적인 공격에도 견뎌내며 자외선과 적외선을 모두 통과 시킵니다. 우수한 열 전도체이며 완벽한 전기 절연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큰 장점은 강도와 경도에 있으며 B&W 또한 이점을 십분 활용하였습니다.
다이아몬드 트위터 돔을 만드는 과정은 창에 서리가 끼는 것과 비슷합니다. 다만 물이 아니라 탄소 그리고 더 고가라는 점이 다릅니다. 특수한 가스를 플라즈마 안에서 태양 표면 온도와 같은 고온으로 가열하면 이 과정에서 ‘탄소 서리’(다이아몬드 크리스탈)가 특수 실리콘 위에 결정체로 생성되는데 이것이 초경질의 다이아몬드 돔입니다.
그렇다면 왜 다이아몬드를 트위터 돔으로 사용하는 것 일까요?
사치스럽게 보일 수도 있지만 이것은 B&W 사의 최고의 스피커를 향한 열정 입니다. 최고의 스피커라면 갖추어야 한다고 연구해 온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음 신호에 어떠한 가감도 없는 드라이버 유닛을 제작하는 것 입니다.
트위터의 경우, 단단하면서도 완벽한 피스톤 운동으로 가능한 한 최고 주파수까지 도달할 수 있는 돔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러한 돔 트위터에 가장 적합한 물질, 즉 단단하면서도 가벼운 소재 중 최고가 바로 다이아몬드입니다.
지난 수년동안 B&W 사에서는 알루미늄 트위터 돔을 연구 개발하여 주파수 응답 특성을 보다 고역대까지 향상시켜 더 깨끗한 음을 전달하기위해 노력하였습니다. 그러나 B&W 사가 지향하는 완벽한 트위터는 강도가 무한하면서도 중량이 없는 즉, 컴퓨터에서만 존재하는 물리적 특성의 소재로 된 돔이며 이러한 물성에 가장 가까운 소재가 바로 다이아몬드인 것입니다.
세계 최고의 공업용 다이아몬드 제조회사에서 만들어진 최상의 트위터 돔과 B&W 사의 기술력으로, 예전에 들어보지 못했던 가장 아름다운 음질의 궁극의 트위터가 탄생하였습니다.응답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수를 배제한 상태에서 트위터의 소재만으로 시뮬레이션한 결과입니다. 알루미늄 트위터의 경우 20kHz까지는 이론상의 트위터와 거의 동일한 응답을 보이지만 30kHz이상에서는 음이 들뜨는 현상이 일어나면서 음의 왜곡이 생깁니다. 하지만 다이아몬드 트위터의 경우 70kHz까지도 이론상의 트위터와 동일한 응답을 보입니다. 트위터의 재질만으로도 많은 발전을 이룬 것입니다.
지난 수년동안 B&W 사에서는 알루미늄 트위터 돔을 연구 개발하여 주파수 응답 특성을 보다 고역대까지 향상시켜 더 깨끗한 음을 전달하기위해 노력하였습니다. 그러나 B&W 사가 지향하는 완벽한 트위터는 강도가 무한하면서도 중량이 없는 즉, 컴퓨터에서만 존재하는 물리적 특성의 소재로 된 돔이며 이러한 물성에 가장 가까운 소재가 바로 다이아몬드인 것입니다.
세계 최고의 공업용 다이아몬드 제조회사에서 만들어진 최상의 트위터 돔과 B&W 사의 기술력으로, 예전에 들어보지 못했던 가장 아름다운 음질의 궁극의 트위터가 탄생하였습니다.
응답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수를 배제한 상태에서 트위터의 소재만으로 시뮬레이션한 결과입니다. 알루미늄 트위터의 경우 20kHz까지는 이론상의 트위터와 거의 동일한 응답을 보이지만 30kHz이상에서는 음이 들뜨는 현상이 일어나면서 음의 왜곡이 생깁니다. 하지만 다이아몬드 트위터의 경우 70kHz까지도 이론상의 트위터와 동일한 응답을 보입니다. 트위터의 재질만으로도 많은 발전을 이룬 것입니다.
여러 가지 드라이브 유닛 중에서도 가장 제조하기 힘든 것이 바로 트위터 입니다. 부속들 또한 섬세 하면서도 부서지기 쉽습니다. 여기에 성능의 한계에 도전한다고 했을 때 부품도 최상품을 사용해야 하지만 조립 또한 최적의 통제된 공간에서 정밀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래야만 최고의 상품을 오래도록 변함없이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새로 개발한 다이아몬드 트위터를 위하여 B&W사는 새로 최첨단의 조립 라인을 구축했습니다. 이 곳에선 트위터의 모든 조립이 최신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다이아몬드 돔에 어떠한 압력도 가하지 않고도 트위터 본체에 부착시키는 기술을 사용합니다. 조립 지그를 사용하여 돔 서라운드, 보이스 코일, 마그넷 등을 정밀하게 정렬시키며 이러한 정밀 공정 만이 모든 스피커가 다이아몬드의 품질에 부합되도록 보증할 수 있습니다.
– FST 미드레인지
“뉴 800 시리즈의 모든 3웨이 스피커에는 B&W의 미드레인지 드라이버가 장착되었습니다. 진동판은 그대로 케블라 재질을 사용합니다. 이미 시그너처 800 스피커에서 선보인 알루미늄 페이즈 플러그와 네오디뮴 마그넷 시스템이 적용되었고, 유닛의 섀시 디자인도 조금 바뀌었습니다.
구형의 헤드도 변화되었는데, 트위터가 좀 더 밑으로 내려와서 묻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는 음질보다는 디자인을 고려한 것입니다. 마감 처리도 향상되었는데 이전에는 그냥 검은색이었는데 이제는 가까이서 보면 시그너처 800 스피커처럼 펄 가루가 들어간 것처럼 반짝거리는 느낌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 로하셀 베이스 드라이버
“이전에는 페이퍼-케블라 재질의 진동판을 사용했습니다만, 베이스 드라이버에 사용한 Rohacell은 아주 견고한 폼인데 항공 업계에서 사용될 만큼 가볍고 강도가 높은 재질입니다.
이전에도 같은 재질로 만들어진 스피커들이 있었지만, 두께가 보통 1~2mm 정도에 불과했습니다. 뉴 800 시리즈에 적용된 진동판의 두께는 8mm로 거의 네 배이며, 여기에 카본을 샌드위치 시켜서 추가적인 강도 향상을 얻어냈습니다. 새로운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저음의 어택이라든지 다이내믹이 더 강화되었습니다. ”
– 크로스오버
“크로스오버의 개발에는 청취 테스트를 통해 최적의 부품과 회로를 찾아내는데 주력했습니다. 음향적으로나 음악적인 균형을 얻기 위해서는 가급적 단순한 회로가 필요하다는 것이 B&W의 크로스오버에 대한 철학입니다.
신호 경로에서 전기적인 부품이 무언가를 더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이번에 처음으로 트위터에는 1차 필터를 사용하였으며, 결과적으로 미드레인지 드라이버와 위상을 맞추기 위해서는 트위터의 부착 위치까지 좀 더 앞으로 옮겨지게 되었습니다. 지속적인 청취 테스트를 통해 독일 문도르프의 최고급 커패시터를 사용했습니다. “
– 캐비닛
“800 시리즈의 캐비닛은 덴마크의 B&W 공장에서 제조하고 있습니다. CNC 머신으로 제작하며, 무늬목 등 세심하게 모든 부분을 꼼꼼하게 검사합니다.
새로운 스피커들의 디자인은 노틸러스 800 시리즈와 비슷한데, 이는 B&W 스피커의 이미지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실질적인 내용을 개선했다는 의미입니다. 캐비닛의 곡면 부분은 한 장의 합판을 휘어서 제조하므로 캐비닛의 접합 부분이 없습니다. 또 모든 모델에 B&W의 매트릭스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이는 캐비닛의 강도를 개선하는 B&W의 특허 방식입니다. ”
B&W 800D
트위터의 진동판에 돔형으로 성형한 인공 다이아몬드를 채용하여 고역의 재생 주파수대역이 30kHz에서 70kHz로 증가하였습니다.
다이아몬드를 채용한 이유는 트위터의 진동판으로서 이상적인 “한 없이 강하고 질량은 zero ” 라는 조선에 가장 가까운 소재이기 때문입니다. 종래의 알루미늄 합금제 트위터보다 고역의 공진 주파수가 20kHz의 가청주파수 이상으로 올라가고 왜곡은 비약적으로 감소하였습니다.
트위터용으로 콘덴서 1개의 하이패스 필터만 채용한 심플한 네트워크 구성을 채용하였습니다. 다른 대역의 네트워크도 종래보다 고품질이면서 심플하게 구성되었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서 트위터를 포함한 각 유닛은 역상 접속하지 않고 정상 접속되기 때문에 트위터는 종래보다 반파장(약 4cm)만큼 전방으로 배치되었습니다.
또 디자인 면에서도 트위터가 미드레인지 상부에 종래보다 깊이 매립 설치되었습니다. 미드레인지 유닛은 Signature 시리즈와 거의 동일하고 150mm 케블라 콘이 채용되었으나 플레임과 구동계에 개량이 더해져 왜곡이 더욱 저감되었습니다.
250mm 우퍼 유닛은 “Rohacell”이라는 소재를 채용하였는데 이는 영국의 메이커가 개발한 것으로서 독립 발포한 수지를 탄소 섬유로 샌드위치 시킨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주로 항공기나 고속열차의 동체등에 이용되어 왔으며 종래의 페이퍼/케블라보다 강도가 3배나 강합니다. 정확한 저음 재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인클로져 내부에 충만한 유닛 배면으로 부터의 음을 외부로 새지 않도록 하는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인클로져는 종래처럼 매트릭스 구조의 곡면 합판 구조를 채용하고 있습니다. 베이스 리플렉스 포크 주변에는 골프 공 표면과 같은 딤플 구조가 종래 모델보다 공기 역학적으로 개선되어 배음이 나올 때의 노이즈를 더욱 저감시킵니다.
B&W HTM2D 센터스피커
센터 채널 전용(방자형) 3웨이 베이스 리플렉스형 스피커.
HTM1D와 동일하게 다이아몬드 돔 트위터, Rohacell? 콘 우퍼, 케블라 미드레인지를 채용한 센터 스피커 입니다.
HTM1D도 있지만 공간에 비해 워낙 큰 스피커라 HTM2D로 하였습니다. 전용스텐드로 설치해 드렸습니다.
B&W ASW 825 서브우퍼
B&W의 800시리지의 가장 많이 판매되는 서브우퍼로 가격대 성능면과 디자인등 모든면에서 가장 이상적인 제품입니다.
1000W의 출력을 가진 이서브우퍼는 강력하면서더 깊은 저역이 특징인 제품 입니다.
McIntosh(매킨토시) C46프리앰프 MC501모노파워앰프
C46 프리앰프는 C200의 퀄리티와 테크놀로지를 계승하고, 또한 조작성을 높여 음악을 보다 풍부하게 전개한 매킨토시의 New Reference 라고 할 수 있는 컨트롤 앰프입니다.
최신설계의 포노 이퀄라이저 , 8밴드 이퀄라이저, C200과 같은 아날로그 볼륨의 느낌을 갖는 VRV 디지털 볼륨 콘트롤, 밸런스 및 언밸런스의 3개의 출력단자, 볼륨 밸런스의 디스플레이 표시 등 사용해 볼수록 그 편의성이 실감되는 여러가지 기능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특히 8 밴드 이퀄라이저는 20, 35, 70, 150, 300, 600, 1200, 4000Hz의 각 주파수로 ±12 dB의 조정이 가능합니다.
이 기능과 3개의 출력을 각각 다른 파워앰프에 접속함에 의해 입력의 하이 퀄리티를 유지하면서 본격적인 음악감상이나 배경음악 등의 서로 다른 음의 세계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MC501 모노파워앰프는 채널당 500W의 모노모노 파워앰프 MC501.매킨토시가 파워앰프에 대출력을 표방하는 것은, 물론 큰 필연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고속으로 다이내믹하게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음악 신호를 증폭 재생하지 않으면 안되는 기기이기 때문입니다.
다이나믹 레인지를 정확하게 재현하기 위해서는 그 레인지를 커버하는 출력이 필요하고, 변화하는 출력에 따라 필요한 파워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거대하고 고속의 전원이 필요하게 됩니다.
주파수 레인지도 물론 충분한 대역 재현 능력이 요구됩니다.
주파수 레인지를 광대역화하는 것은 스루레이트 (Slew Rate)를 높이는 것과 거의 같은 뜻이고, 음색은 소리가 울리기 시작한 순간에 결정되어 버리기 때문입니다.
단순한 대출력화에서는 (예를 들면, 파워 트랜지스터를 대량으로 패러렐 접속 사용) 소리의 순도가 손상되기 쉬운 요소가 늘어나 버리는 것도 사실입니다.
더블 밸런스 회로와 출력 오토포머에 의해 스피커로부터의 역기전력 등의 문제도 해결하고, 고순도의 재생 능력을 갖춘 MC501은 매킨토시 라인업 중에서도 가장 핵심에 위치하는 제품입니다.
Lindemann(린드만) 820 SACD Player
독일 린드만사의 SACD플레이어로 아날로그브와 전원부가 별도 전원으로 독립되어 있는 제품 입니다.
SACD 재생 뿐만 아니라, CD의 고품질 재생에도 큰 역점을 두었으며, 파워에 직결할 수 있는 아날로그 볼륨단 역시 플래그쉽 제품에 걸 맞는 음질을 들려줍니다.
특수 서스펜션을 통해 픽업에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하였고, 전원코드는 분리형 전원부와 본체 두 곳에 연결되어 각각 아날로그부와 디지털부에 전원을 공급합니다.
HiDRA (High Definition Resampling Architecture)를 이용해 업 샘플링을 하며, 샘플링 주파수를 44.1kHz, 88.2kHz, 176.4kHz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일반 CD재생 시)
D/A 컨버터 회로기판의 신호경로를 최소화하기 위해 PCB 보드를 4층으로 설계, 적용하였고, 고정밀 저항, 최상급 콘덴서, 모든 납땜을 은납으로 하는 등 물량투입에도 만전을 기한 것이 특징입니다.
Transrotor ZET3 턴테이블
독일 아날로그 턴테이블 전문사인 트랜스로터사 ZET3 턴테이블 입니다.
첨단 디지털 기술 제품이 난무하고 있는 요즘에도 아날로그 플레이어인 턴테이블 분야에만 전력을 투구, 최선의 제품만을 소개해 오고 있는 독일 하이엔드 턴테이블 메이커 입니다.
트랜스로터는 수공업형태로 만들어진 정밀기계의 표본이며 수년간 모든 디자인상을 휩쓸었을 뿐만 아니라 기계 내부 역시 최상급의 음질을 낼 수 있도록 설계된 점을 들 수가 있습니다.
모든 트랜스로터의 입력단은 24K 골드로 도금시켜 신호 손실이 없게끔 해놓았으며 회전판인 턴테이블에 진동을 주지 않는 모터 기능도 이 제품의 특징이며 작동은 벨트 드라이브 방식이 특징 입니다
PSAUDIO Power Plant Premier
별도의 전원관리를 위해 AVR인 Power Plant Premier를 같이 설치해 드렸습니다.
오디오에 있어 전원관리는 정말 필요악이며 전원으로 인한 제품의 소리차는 따로 말하지 않아도 중요한 부분 입니다.
DENON 플레그십 AV 앰프 AVC-A1HDA 입니다.
데논의 신형 레퍼런스 AV앰프인 AVC-A1HDA 입니다. 현존 최고의 스팩을 자랑 하는 제품입니다.
상위 모델로 분리형 제품이 있지만 일체형 제품으로는 데논의 최상급 모델입ㄴ디ㅏ.
전문가들로부터 최고의 극찬을 받는 제품으로 뛰어난 성능과 하이엔드 브랜드와 비교해도 물량투입이나 사운드에서 뒤지지 않는 제품입니다.
HDMI 1.3a를 지원하며 현존 최고의 스팩을 자랑하는 몬스터급 앰프 입니다.
하이엔드 브랜드에서 아직 완벽한 HDMI 1.3지원 AV프로세서를 만들지 못하고 있지만 데논은 선진적인 가술을 바탕으로 뛰어난 제품을 만들었고 가장 많이 팔리는 분리형 제품중 하나 입니다.
DENON 플레그십 블루레이플레이어 DVD-A1UD
데논의 최상의 블루레이 플레이어인 DVD-A1UD 플레이어 입니다. 뛰어난 성능과 현존 최고의 영상 음성을 지원하는 제품입니다.
멀티채널 SACD와 일반 CD재생능력 역시 뛰어난 제품입니다. 별도의 아날로그 XLR출력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소니 SXRD 플HD프로젝터 VPL-VW80
소니는 자사의 FULLHD 프로젝터인 VW200의 보급형 모델이며 HW15의 상위모델인 VPL-VW80을 설치해드렸습니다.
이번 VPL-VW80은 소니의 최상급기 VPL-VW200의 SXRD 패널과 각종 신기술을 그대로 사용한 제품으로 1000만원미만의 프로젝터의 최고의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VW80은 상위 모델이 가지고 있는 기능은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단다는 1000만원 미만이라는 장점과 DLP프로젝터가 눈에 맞지않는 고객님이라면 아주 좋은 선택이 될것 같습니다.
B&W DS3 서라운드 스피커
B&W사의 바이폴라형 서라운드 스피커 DS3입니다. 상위 모델인 DS8S정도가 같은 조합이지만 리어공간이나 설치상 DS3로 설치해 드렸습니다.
7.1채널 기본구성으로 4개의 스피커가 설치되었습니다.
ⓒ AVPLAZ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