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김해시 P님의 멀티 홈시어터 구축 설치기

경남 김해시 P님의 멀티 홈시어터 구축 설치기
2004년이 사작된지 어제 같은데 중순을 넘어 벌써 민족명절인 설이 가까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이번 설에는 가족과 집에서 홈시어터로 영화 감상하시는것은 어떠실까요?
이번 방문설치기는 경남 김해시의 P님의 멀티 홈시어터 구축기 입니다.
P님께서는 기존에 홈시어터를 구축하셨다가 이번에 대대적 업그레이드 작업에 착수하셨습니다.
기존에 모던쇼트사의 MS 5.1시리즈 제품과 야마하 AZ1으로 홈시어터를 즐기시다.
이번에 ELAC의 3 시리즈로 스피커로 업그레이드와 비주얼 기기쪽 보강을 위해 샤프 Z12000을 DLP 프로젝터를 선택하셨습니다.
기존의 AZ1 과 파이오니아 757DVD플레이어 등은 그대로 사용하고 스피커는 ELAC 스피커로
8.1 체널 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 하시기로 결정하셨고 또한 기존의 50″ 삼성 PDP 에 샤프 Z12000 으로 대화면을 구성하기로 하셨습니다.
경남 김해시 P고객님의 사용하신 기기리스트 |
|
메인 스피커 |
|
센터 스피커 |
ELAC 203JET |
리어 스피커 |
|
프론트 이펙트 스피커 |
ELAC CINEMA 2 SAT |
서브우퍼 |
Mordanunt-short |
AV리시버 |
YAMAHA DSP-AZ1 |
프로젝터 |
|
스크린 |
|
PDPTV |
삼성 PAVV 50″ PDPTV |
영상스위쳐 |
|
셋탑박스 |
삼성HD 셋탑박스 |
BS셋탑 |
SONY BX-500 |
오디오랙 |
바우하우스 2단 3열 |
본격적인 설치
경남 김해 설치이기 때문에 설치 하루전에 출발하여 하루를 김해에서 잠을 자고 다음날 오전부터 설치를 시작하였습니다. 설치에서 가장 까다로운 부분은 아마도 영상 케이블 과 전원케이블 배선일것 입니다.
스크린과 프로젝터를 얼마나 안정적으로 천정에 설치되면서 깔끔하게 설치를 하느냐가 아마도 이번 설치에 중요 포인트중 하나일것 입니다.
오전10:30 정도 시작된 설치는 오후 7시 정도에 세팅까지 모든것이 마무리 되었습니다.
AVPLAZA에서는 특히 프로젝터설치시 케이블 배선을 천정안쪽을 이용하여 배선을 합니다. 이경우 일반 몰딩을 이용해서 배선하는 경우 보다 시간이 배 이상걸리게 되면 그만큼 정성과 노력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프로젝터가 한두푼 하는것도 아니고 프로젝터 설치된 모습에 따라 집안 분의기가 달라지고 완성도역시 차이가 나니 좀 고생스럽더라도 고객님이 “OK”할때 까지 최선을 다해서 작업을 합니다.
하지만 모든 집에 천전위쪽으로 배선이 가능한것은 아닙니다만 가능 하면 천정위쪽으로 배선을 하는것이 보는 사람이나 설치해드리는 저희 입장으로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설치비 들여 시공하는 소비자 입장에서도 몰딩을 천정에 덕지 덕지 하면서 배선하는거 그리 좋아하는 분들도 없겠조.
하지만 대부분 프로젝터 시공업체에서는 그렇게 하지 않고 있조 이유야 여러가지지만 전문 인스톨러가 아닌 아르바이트나 전문인력이 아닌사람이 시공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천정 안쪽을 통해 영상및전원선을 배선모습.
설치는 총 8시간 정도 소요 되었으며 1시간정도 세팅등 총 9시간정도 소요된 설치 및 세팅 작업이었습니다.
이번 설치에서는 특히 8.1채널 구연시 가장 자연스러운 음장과 영상과의 메칭에 중점을 두어 세팅되었습니다.
기기 하나 하나의 대하여 설명을 하여 드리겠습니다.
설치 완료된 전면 모습
메인 스피커는 ELAC의 CL330JET 오센틱 입니다.
ELAC CL330JET 오센틱
ELAC의 330JET 오센틱은 330JET의 스페설 에디션으로 외관 및 소리모두 업그레이드 된 모델입니다.
가까운 일본 만하더라도 330JET의 인기가 하늘을 찌르고 있조 적지 않은 가격임에도 불구 하고 유저분들에게 많은 인기가 있는 이유는 바로 티끌 없이 투명하고 맑은 소리에 있겠습니다.
뛰어난 디자인과 더불어 엘락의 독자적으로 개발된 JET트위터는 리본형 트위터로 ELAC스피커의 명성의 핵심이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ELAC JET트위터와 7.5″ 우퍼로 구성 ELAC 330JET에는 본체와 스텐드의 구조와 만듬새가 정말 명품이라고 할만합니다. BMW나 메르세데스, 라이카등 독일 장인의 숨결을 ELAC 330JET 에서도 그대로 느낄수 있습니다.
스피커의 인클로져의 외형과는 달리 내부는 자체 공진을 막기 위해서 상당히 복잡한 내부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근간에 알미늄 인클로저를 채용한 스피커들이 많아지고 있는 것 또한 ELAC의 3시리즈 스피커가 주도 했다고 할수 있겠지요.
보편적인 스피커들은 기백만원정도 이지만 인클로져의 소재가 MDF에 무늬목정도의 수준입니다.
물론 MDF는 밀도가 균일하고 가격도 저렴한 편이라 선택의 여지가 없을 정도로 장점이 많은 소재이나 알미늄의 경우 가공성이 떨어지는 제작시의 난관이 있으나 MDF보다 뛰어난 소재인 것 만은 틀림이 없거든요.
해서 근간에 제작기술이 좋아지고 있어 이에 후발적으로 많은 스피커 제조업체들이 관심을 갖고 제작을 하고 있는 상황이지요.
전용 스텐드는 본체와 같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되어 있다.
전면에 배치된 앰프, DVDP, 센터,셋탑박스등
센터 스피커는 203JET 입니다.
ELAC 203센터 스피커
센터는 왜 2 시리즈 일까? 하시는 분들이 있더군요. 이유는 3시리즈인 330, 310,305가 하이파이용으로 나온 제품이기 때문입니다. 뭐 꼭 하이파이용으로만 사용해야하는것은 아니지만 3시리즈는 2체널 하이파이 제품으로 정확안 음의 재생과 원음에 가장 가까운 소리를 내기 위해 재작된 스피커 입니다. 요즘 홈시어터 겸용으로 나온 제품들과 컨셉이 좀 다르조 그러다 보니 센터스피커가 없습니다.
그러다 보니 아래 기종인 203JET를 센터로 사용되고 리어는 310을 대부분 사용하셔서 홈시어터를 즐기십니다.
HIFI와 홈시어터의 2마리 토끼를 잡을수 있는 현명한 선택이 될수 있을것 입니다.
203센터의 음색은 3시리즈와 거의 같기 때문에 멀티체널 재생시 메인 스피커와 센터스피커와의 밸런스 문제 없이 완벽한 음의 조화를 보여 주고 있습니다.
앰프와 DVD플레이어
앰프는 YAMAHA 최상급 DSP-AZ1 입니다. 아니 엄밀히 말해 최상급은 아니지요.
이번에 야마하에서 레퍼런스 최상급 DSP-AZ9출시되었습니다. 정말 거함급 괴물 앰프입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3월달이나 되어야 만나볼수 있을것 같고 가격도 600만원정도에 책정되어 있고 하니 일반 소비자들입장에서는 쉽게 선탁할수 있는 모델일것 같지는 않습니다. 그 이전에는 AZ1이 최상급 이겠죠.
3월 국내 발매 예정인 DSP-Z9
DSP-AZ1 의 8.1체널을 모두 이용하여 메인*2, 센터*1, 리어*2, 리어센터*1, 프론트이펙트*2, 서브우퍼*1 총 8.1체널의 구성입니다.
체널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반드시 좋은것은 아니지만 야마하의 가장 큰 장점인 DSP를 표연하기에는 프론트 이펙트를 장착으로 60평대 아파트 거실이 오페라 하우스 한가운데로 온듯한 착각을 만들게 합니다.
이러한 야먀하의 시네마 DSP때문에 최강의 디지털 앰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는것 입니다.
DVDP는 파이오니아의 757 입니다. 요즘 755Ai가 나오기 전까지만해도 최상급 기종이었습니다. 파이오니어 특유의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영상미가 넘치는 플레이어라고 할수 있겠지요.
HD셋탑박스 및 BS셋탑박스
아쉽게도 지방은 아직 HD방송을 하지 않기 때문에 국내 공중파 HD를 감상할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부산에 PSB에서 HD시험방송을 하고 있지만 그마저 김해에서는 잡히지가 않습니다. 때문에 무용지물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PDP구입하면 HD세탑을 하나씩 끼워 주니 HD방송 셋탑을가지고 아나로그 방송을 보고 있는 꼴이라니… 하루 빨리 지방도 HD본방송을 시작하여 지방에 HD목말라 하고 있는 분들을 위해서라도 빨리 본방송이 시작 되어야 하겠는데.. 참 아쉽습니다.
꿩대신 닭이라고 P님께서는 국내 HD 대신 BS디지털 튜너를 이용하셔서 BS 디지털 TV를 시청하시고 있습니다.
뭐 말은 못알아 들으신다고 하셔도 하루종일 방송해주는 HD방송 참 꿈만같은 현실입니다.
영상 스위쳐 입니다.
앰프에 달려 있는 컴퍼넌트 스위쳐들이 입력2개 출력1개를 지원하고 AZ1경우도 입력3개 출력1개를 지원 하다보니 동시에 컴퍼넌트 출력이 2개가 나가야 PDP와 프로젝터를 동시에 사용이 가능한 제품을 찾다 보니 이 제품을 선택하였습니다. 컴퍼넌트입력 6개와 일본내수용기기에 사용되는 D단자를 포함 총 7개의 입력과 2개의 컴퍼넌트 출력을 가지고 있는 재품으로 동시에 프로젝터나 PDP등 재품을 사용하시는 분에게는 유용한 제품인것 같습니다. 단 가격애 조금 비싸네요.
프론트 이펙트 입니다.
ELAC 시네마2 큐브로 구성된 프론트 이펙트 스피커
프론트 이펙트는 ELAC의 시네마2의 큐브 스피커 2개를 이용하였습니다. 프론트 이펙트가 뭐냐고 물어 보시는 분들이 많더군요. 말그대로 전면에 효과를 내기 위한 스피커 입니다. 직접적인 음악이나 소리가 나오는것이 아니고 콘서트 장에서 넓은 공간에서 나오는 음의 울림이나 반사,등의 다양한 효과들을 프론트 이펙트가 가상으로 만들어 마치 정말 콘서트장에 온듯한 넓은 스테이징과 무대를 만들어 줍니다.
이러한 역활이 프론트 이펙트에 역활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삼성50″ HD PDP TV
삼성 50″ PDP 입니다. 최근 PDPTV 가격정말 많이 떨어 졌조. 이제는 40″대 정도면 구입하는데 아주큰 부담까지는 가지 않을만큼 가격이 떨어졌고 50″대 역시 작년초에 비해서도 가격이 많이 떨어졌 쉽게 구입이 가능해졌습니다. 그만큼 많이 보급이 되었다는 점이조. 하지만 전기를 너무 많이 먹는데다가 아직 색감이 떨어지는 것은 어쩔수 없나봅니다.
삼성 PDP로 BS HD방송 수신중
렉스비전 하이비전 100″ 텐션 전동 스크린
렉스비전에 DLP프로젝터용 전동 텐션 스크린입니다. 일반 전동 스크린에 비해 무개가 상당하며 크기도 상당히 크조. 그러다 보니 천정에 설치하는것이 쉽지 않습니다. 천정에 작은구명을내어 콘크리트 앙카를 뚫어서 고정시켜야 합니다. 천정이 대부분 석고 보드다 보니 석고보드에 고정한다는 것은 불가능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정확한 수평과 위치를 잡아야 하기에 좀 까다로운 작업입니다.
스크린의 리모콘 수신부와 전원선은 천정안쪽으로 배선하여 눈에 전혀 보이지 않도록 설치하여 깔끔하게 마감하였습니다.
렉스비전에 사용되는 모터와 수신기는 프랑스 솜피사의 신형 모터와 수신부로 기존 솜피재품에 비해서 작동속도가 상당히 빨라져 시원스럽게 스크린이 작동하며 모터의 힘또한 보강되었습니다.
하단부분에 오디오 랙이 배치 되어 있기 때문에 랙 높이에 맞게 스크린이 내려오는 리미트를 설정하여 오디오 랙에서 2cm 정도에 공간을 남기겨 스크린 위치를 최대안 아래쪽에서 위치하게 하여 장시간 시청에도 목을 들지 않고 편하게 감상할수 있도록 설정하였습니다.
뒤쪽을 살펴 보면
리어 쪽을 살펴 보면 리어쪽에는 리어스피커, 리어센터, 우퍼, 그리고 프로젝터가 설치 되어 있습니다.
리어 스피커는 이번 1월말에 ELAC의 신형 스피커인 203.2JET 스피커를 하시기로 결정하셨기 때문에 그동안은 기존에 사용하시던 모던쇼트 리어 스피커를 임시로 사용하시기로 하셨습니다.
리어 센터 스피커
리어 센터 스피커는 ELAC의 XL CENTER 입니다. XL 센터는 벽에 고정이 가능한 브라켓이 포함되어 있어 벽면설치가 용의 하고 또한 크기가 리어 센터로 쓰기에 적합한 크기라 많이들 리어 센터로 사용하시고 있는 모델입니다.
리어나 리어센터의 위치는 시청자에 귀높이에서 10~15CM 위쪽에 설치하는것이 가장 이상적인 위치 입니다. 리어 센터 아래 부분에 모던 쇼트 우퍼 스피커가 배치 되어 있습니다.
리어 스피커
리어 스피커는 ELAC 신형 203.2가 들어 오기전까지 임시로 전에 사용하시던 MS902를 그대로 사용하시기로 하셨습니다.
DLP프로젝터 샤프 Z12000
와이드 판넬 DLP프로젝터 시장에서 가장 앞서 나가고 있는 샤프사의 최신 DLP프로젝터인 Z12000 입니다.
기존 10000 보다 향상된 컨트라스트 비와 기능들로 무장하고 Z10000초기 판매가보다 저렴한 800만원대 초반에 출시된 재품입니다.
컨트라스트가 5500:1 의 무시무시한 프로젝터 입니다. DLP특유에 정확한 색 표현력과 뛰어난 명암비로 많은 메니아분들에게 가장 사랑받고 있는 DLP프로젝터라고 보시면 되겠네요
최근 삼성의 야심작인 SP-H700AK DLP프로젝터와 경쟁하고 있는 재품으로 삼성은 뛰어난 색감에 샤프는 그간의 기술력과 가격으로 진검승부중입니다. 개인적으로 1라운드는 샤프쪽에 승리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이유야 삼성DLP프로젝터가 생각보다 비싼가격에 출시되었지만 삼성에서 만든 재품으로 이런 화질을 낼거라 생각못할 정도로 뛰어난 프로젝터 더군요.
어느것을 선택하셔도 훌륭한 선택임은 확실합니다.
설치를 셋팅을 마치고 본격적인 감상하면서
샤프 Z12000 과 렉스비전 100″ 스크린을 통한 BS디지털 방송 화면
우선 프로젝터 선택시 주로 시청하는 소스가 무엇인지 어떻영상을 추구 하시는지 자신의 취향을 생각하시고 프로젝터를 선택하시면 가장 좋은 선택이 될것 입니다.
일반적으로 DLP프로젝터들이 샤프니스가 좋겠다 라는 막연한 생각을 가지고 있다면 틀린 생각입니다. DLP의 장점은 정확한 색재현과 높은 명암비로 블랙을 표현이 좋다는 점입니다.
영상에 반면 DLP들은 일반 LCD프로젝터에 비해 샤프니스가 떨어집니다.
디테일한 맛이 떨어지는것은 단판식 DLP의 단점이기도 합니다만 장점이 많은 방식음은 확실합니다.
HD가 소스의 주력이고 샤프니스한 영상을 좋아하신다면 LCD프로젝터로 가시는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DLP에 비해 블랙의 표현이 많이 약하고 검은색이 표현이 정말 힘듭니다.
필림 라이크하면서 자연스럽운 영상을 좋아하신다면 CRT나 DLP 쪽으로 가시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샤프 Z12000 과 렉스비전 100″ 스크린을 통한 480P DVD화면
이런면에서 Z12000은 이보다 저렴한 LCD프로젝터에 비해 HD방송을 처음 볼때 와~! 하는 탄성이 나올만큼 선명하고 디테일한 영상은 아닙니다. 하지만 프로젝터를 많이 접하다 보면 왜 정확한 색표현이나 자연스러움 영상미가 중요한지 금방 아실것 입니다.
영상에 가장 중요한것은 HIFI와 마찬가지로 자연스럽고 원색에 가장 가까운 제품이 좋은 제품이니까요.
P님께서는 미리 암막 커텐겸 흡음용 커텐을 준비해 두신 상태였고 세팅에 상당히 신경을 많이 쓰시는 분이기에 특별히 다른 세팅을 해드리지 않았습니다. 본인이 직접 하나 하나 스피커에 대한 세팅을 직접 하시면서 좀더 좋은 소리를 찾아 가시는것도 또하나의 재미이며 오디오를 취미로 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ELAC의 CL330JET가 에이징 되는시간이 장시간이기에 자주 음악을 들여주시고 정성과 사랑이 있으면 좋은 소리를 찾으실수 있을거라고 말씀드리고 오디오 업자가 아닌 저역시 오디오를 사랑하는 동호인 입장으로 저의 개인적인 세팅치와 방법등을 알려드렸습니다. 오디오란 하루 아침에 좋은 소리가 나오는 것이 아니라 정성과 사랑으로 기기를 바라보고 들으시면 그것이 바로 좋은 소리가 나오는 길이라 전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리모콘이 너무 많으신분들은 학습형 리모콘에 학습시켜 사용하시면 리모콘 하나로 다 해결되지요. 리시버에 재공되는 리모콘이 쓰기 힘드시다면 별도로 판매 하고 있는 액정리모콘등을 사용하시면 좀더 편하게 기기들을 컨트롤이 가능할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2004년 새해 복많이 받으시고 즐거운 고향길 다녀오시기 기원드립니다.
WWW.AVPAZA.CO.KR
ⓒ Hometheater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