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림동 고객님의 하이파이 대화면 시스템 구축기

신림동 고객님의 하이파이 대화면 시스템 구축기

이번 설치기는 신림동에 거주하시는 고객님의 하이파이 설치기및 대화면 프로젝터 설치기 입니다.
고객님께서는 기본적으로 HIFI음악을 감상하시는 고객님으로 기존에 사용하시던 제품을 처분하시고 MBL의 스피커와 앰프로 업그레이드를 하시고 샤프의 FULLHD프로젝터인 Z21000 프로젝터로 비주얼을 시스템을 구축하셨습니다.

 MBL 116 무지향스피커

직접적이며 복잡 미묘하면서도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는 생음악은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습니다.
음악 자체가 진짜로 들리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콘서트 홀에서 바이올린의 섬세한 연주를 듣던지 락(rock) 음악 공연장에서 힘찬 베이스 연주를 직접 느끼던지 청취자는 항상 처한 환경의 사방에서 전해지는 감각의 요소로서, 동시에 명백하게 느껴지는 공간의 한 부분으로서, 음악을 경험한다는 것입니다.
음악의 창조적인 순간을 경험한다는 것은 다분히 문화적이며 감각적인 일입니다.
따라서 음악감상이란 우리 사회에서 항상 중요한 위치를 훌륭히 지켜왔습니다.
그러나 현실은 불행히도 항상 콘서트 홀에 직접 가서 음악을 즐길 수 없으며 더더욱, 필 하모니 오케스트라 공연장의 가장 좋은 자리를 차지하기란 매우 어렵습니다.
모두가 바라는 것은 집에서도 콘서트 홀에 있는 듯한 자연스러운 하모니와 사운드를 원하는 시간에 자유롭고 고급스럽게 즐길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을 만드는 것은 가장 진보한 재생 기술을 사용한다 해도 그다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매우 좋은 스피커 시스템을 갖추었다 하더라도 스피커는 실제 생음악의 소리와는 달리 사운드를 앞쪽 오직 한 방향으로만 내뿜기 때문에 매우 중대한 문제에 봉착하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스피커는 모든 방향으로 내뿜는 오케스트라의 사운드를 뭉뚱그려 재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스피커로부터 직접 방사되는 ‘직접 사운드’와 벽이나 기타 물체 등에 부딪혀 반사되는 ‘간접 사운드’는 서로 균형을 이루지 못합니다. 이것이 바로 명백한 결점인 것입니다.

MBL의 무지향성 트위터가 그 답입니다.

실제 연주에 가장 가까운 사운드를 재생하는 무지향성 트위터
20년 전, MBL은 이러한 스피커 구조상의 단점을 극복하는데 도전할 만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악기나 음성의 사운드를 사실감 있게 방사하기 위한 새로운 스피커는 과연 어떻게 이루어져야만 하는가? 직접 사운드와 간접 사운드 간의 균형을 어떤 식으로 잡아냄으로써 사실감 넘치는 하모니의 완벽한 음악적 즐거움을 이루어 낼 수 있을 것인가? 독일 베를린 대학의 항공우주기술연구소 교수이신 ‘조셉 스턴버그(Joseph Sternberg)’박사와 ‘허버트 프리츠(Herbert Fritz)’박사와 함께 음향에 대한 다년간의 연구 끝에 비로서 기존 스피커의 물리적 한계를 뛰어 넘는 혁신적인 스피커를 구상하게 되었습니다.
그 시리즈가 바로 “Radialstrahler” 이며 현재 시리즈 중 중간모델이 116 입니다.

Radialstrahler의 혁신적인 구조 덕분으로 집 안의 응접실에서도 콘서트 홀에 버금가는 입체음향 재생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이론상 이 구상은 단순하면서도 매우 훌륭합니다.
다른 스피커들이 오직 한 방향으로만 사운드를 방사하는 것과는 달리 Radialstrahler는 음향 파를 악기와 같이 모든 방향으로 방사합니다.
이론상으로는 쉽지만 실제적 실현은 물론 그렇게 쉽지가 않습니다.
당사는 완전히 새로운 사운드의 모험을 창조해내는 소재와 기기 공정을 개발해야만 했습니다.

Radialstrahler의 구상은 트위터, 중역 드라이버 및 서브 우퍼 등 각각의 주파수 영역에 따라 축선을 중심으로 ‘라멜라(lamella: 얇은 판)’를 원형으로 수직 배열하는 구조입니다.
위쪽에는 이 라멜라(lamella)들이 중심 축에 단단히 접착되어 있으며 아래쪽 라멜라(lamella)들은 움직이는 코일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제 음악의 진동 파가 앰프에서 스피커로 전해지면 약간 구부러진 라멜라(lamella)들이 진동하게 됨으로써 음악 재생의 경우 그 음향 파를 방사하게 됩니다.
그 결과, 어느쪽에도 치우치지 않으며 왜곡현상이 절대적으로 없는 균등/동질의 이례적인 음향 공간과 사실감이 살아있는 사운드를 재생할 수 있는 것입니다.
특히, 사실감과 같이 수준 높은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트위터와 중역 드라이버의 중심 축에 배열된 다양한 라멜라(lamella: 얇은 판)들은 카본섬유를 고압으로 압축시키고 정확한 온도에서 단단하게 다지는 수작업을 통하는 등 최고급 소재를 사용하여 만들어졌습니다.

정확하게 조정된 부속들의 조립은 절대적으로 숙련공의 정교한 기술에 의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우퍼의 라멜라(lamella)에 대한 동일 적용사항으로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을 사용하여 만들었을 때 사운드에 있어 가장 낮은 왜곡현상을 보여줍니다.
복잡 다단한 공정을 통하여 모든 시스템을 최적화함으로써 사운드의 왜곡현상, 떨림 현상 및 원치 않는 변동사항 등을 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는 움직이는 코일의 냉각에 대한 고 효율성 시스템에 중점을 둠으로써 코일이 한번 가져온 에너지의 매우 작은 부분만이 사운드에 영향을 입힐 수 있는 열로 전환되도록 합니다.
2,200W 상당의 높은 진동 파워를 발산하는 Radialstrahler와 같은 스피커의 경우 이러한 작은 영향도 매우 중요합니다.

 기준을 제시해 주는 제품 MBL 6010D 프리앰프

청취 취향이나 시대정신에 대한 특권 없이 완전한 화려함 속에서 음악의 즐거움을 누립니다.
현재의 기술력으로 실현 가능한 가장 훌륭한 제품을 고객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욕망과 완벽함 추구에 대한 당사의 끊임없는 탐구정신은 mbl 6010 D 프리 앰프를 통해 그 결실을 맺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연유로 당사는 모든 mbl 6010 D 제품에 영예로운 ‘Der Vorverstarker’의 작위 수여 및 고유의 식별번호를 부여합니다.
이 기기들은 정교한 장인정신을 통해 개별적으로 제조됩니다.
완벽하게 배열된 전기 부품들은 음악재생에 있어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해 주었습니다. 최상급 품질의 소켓, 스위치, 플러그 및 분압기(potentiometer)는 기기간의 완벽한 상호 작용을 보장합니다.
캐비닛 구조는 개개의 전기 플러그 인 기기들 사이에 상호 흐름의 최적화를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시각적인 측면으로 봤을 때, 일반적이고 기능적인 이미지는 현대적인 흐름을 타는 모든 유행을 부정해 버리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여러 차례에 걸쳐 유약 및 코팅처리와 최종 광택처리를 통하여 완벽한 고 광택을 내는 캐비닛은 매우 인상적입니다.
‘최고’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음량 조절기 및 입력 선택 스위치 등 주요 작동 장치들은 견고한 동으로 튼튼하게 만들어졌습니다.
고 광택 처리된 24K 순금 도금 표면의 이들 작동 조절 장치 부분들은 시각적으로 전체 기기의 고 광택 검정 색상과 대조를 이루어 멋을 더합니다.
좀 더 차가운 느낌의 은회색의 제품을 선호하는 애호가들을 위하여 고 광택 크롬이 도금된 버전도 있으며 눈에 그다지 거슬리지 않으면서도 고급스러운 느낌이 강조됩니다.
플러그 인 기술의 개념은 기기 자체를 개별적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선택의 여지를 제공해 줍니다.
새로운 기술에 대한 추후 추가사항이나 조정사항 등이 언제라도 가능합니다.
완전한 프리 앰프로 제작된 기본 기기는 2개의 CD 입력, 1개의 튜너 입력, 2개의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첨부 (또는 DAT), 및 6개의 출력 터미널을 갖추었습니다.
2개의 기존 슬롯은 포노 모듈(MM 또는 MC)과 밸런스드 또는 CD 직접 입력 등을 옵션으로 맞출 수 있습니다.
정교한 악기와 같이 모든 입력 신호는 섬세하게 조율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정은 통합된 레벨 단위에 의해서 쉽게 그리고 개별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것입니다.

프로세서 입력 (바이 패스-bypass: 기기의 음질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신호 경로에서 넣고 빼는 것을 반복하는 방법) 은 하이 앤드 시스템과 비디오 프로세서와의 연결을 위해 제공됩니다.
완전히 편안한 몸과 마음으로 음악에 집중하면서 적외선 리모콘으로 음량을 음향 환경에 따라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두말할 나위 없이 모든 입/출력 또한 리모콘에 의해 원격조작이 가능합니다.
mbl 6010 D 를 위해 특별히 개발된 전원부는 방대한 에너지를 제공합니다.
스포츠카의 엔진에 비교할 수 있을 정도로 파워 유닛의 설계/디자인은 재생 품질을 결정하는 데 있어 매우 중대한 요소입니다.
mbl 6010 D 의 전원부는 보호 기술, 메인스 필터(mains filter), MU 금속 캡슐에 넣은 토로이달 트랜스포머, 고속 전압 조절 등의 상상할 수 있는 모든 기술적 기교를 다해 만든 하나의 발전소라고 할 수 있으며 이 모든 것은 완벽함 추구를 목표로 하는 당사가 훌륭하게 구상한 모든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스트라디바리우스(Stradivarius)’가 노래하고 편안한 자세와 감정이 준비 되면 리니어 앰프의 튜닝을 위한 상당 작업량의 노고는 이미 기억 저편으로 아득해 질 것입니다. CD입력은 정교한 ‘바이어스(bias: 편의/偏倚)’ 전류 보상기를 포함하고 있어 신호경로에서 축전기를 없애주고, 왜곡 현상이 측정 범위 밑으로 떨어져 결과적으로 어디에도 비할 바 없는 완전한 음향 패턴을 가능하게 합니다.

 VUTEC SILVERSTAR 103″ 액자형 스크린

스튜어트와 쌍벽을 이루는 미국 하이엔드 스크린제작사인 VUTEC SIVERSTAR 103 액자형 스크린입니다.
뷰텍의 라인업중 최상의 시리즈인 SILVERSTAR 스크린은 실버계열의 최상위 원단을 사용한 하이엔드 스크린 입니다.
실제 스크린을 사용해 보면 스튜어트나 기타 스크린과 달리 완성품 형태로 국내에 수입이 됩니다. 그만큼 뛰어난 완성도와 VUTEC의 최신기술의 결정판이라 할 수 있습니다.

 SHARP XV-Z21000 FULLHD DLP프로젝터

이번 설치해드린 프로젝터는 샤프의 FULLHD DLP프로젝터인 XV-Z21000 입니다.
SHARP(샤프)에서는 3년만에 XV-Z12000의 후속 모델인 XV-21000 입니다.
정말 오랜만에 출시된 모델인만큼 샤프에서 많은 신경을 쓴것을 알수 있었습니다.

이번 신형 XV-Z21000은 기존에 720급(Z9000,Z10000,Z12000)을 대체 하는 FULL HD급으로 일반인이 구입할수있는 첫 DLP FULLHD 프로젝터 입니다.
Z21000은 출시전부터 많은 기대를 받으며 출시하였습니다.
초기 소비자가격이 1000만원이 넘어간다는 말에 역시 DLP프로젝터는 비싸다고 생각될수 있지만 실체 1000만원 미만에 구입가능하도록 실구매가격이 정해졌습니다.

대략적인 스팩은 TI의 0.95인치 DMD 칩과 1.35배의 매뉴얼 줌 렌즈를 장착했으며, 상하 200%의 렌즈 시프트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 램프와 조리개를 독립시킨 듀얼 아이리스를 탑재했고, 리모컨으로 조리개를 3단계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콘트라스트 비는 최대 12,000:1에 이르며 밝기는 1,000ANSI 루멘입니다.

화질면에서 객관적으로 가격대 성능을 따라올 모델은 없다고 단정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상위 가격대를 가진 제품들과 비교해봤지만 어느하나 빠지는것 없이 완벽합니다.
가격대를 감안한다면 이런 뛰어난 화질이 나올수 있다는것에 프로젝터의 발전속도의 감탄할수 밖에 없습니다.

신림동 고객님이 설치하신 기기들

 

MBL 116 무지향성 스피커

MBL 6010D 레퍼런스 프리앰프

SHARP XV-Z21000 FULLHD 프로젝터

 

VUTEC Sliverstar 100인치 16:9 액자형

프로젝터 만능 브라켓

KIMBER BIFOCAL XL 스피커케이블

AUDIENCE 파워케이블

아고라어쿠스틱Sonodia™-6050

AUDIOQUEST HDMI-X


WWW.AVPLAZA.CO.KR
ⓒ AVPLAZ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