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동 고객님의 대화면 전용룸 구축기

안녕하세요? AVPLAZA입니다.
설치기를 쓰던 중 갑자기 생각난 것이지만 최근 신문을 보니 중국에서 독도 문제를 가지고 독도는 일본땅 해도 된다는 식으로 얘기를 했다더군요?
이거 참 많은 사람들이 보는 곳에서 이런 소리 하기 참 그렇지만…
니하마나 아리가또나 참 나쁜놈들이죠? 그렇죠? 저만 이런 생각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암튼 독도!! 무심하게 지나가곤 하지만 대한민국의 땅인것은 확실하지 않습니까?
우리모두 외칩시다~ 대한민국~!! 독도도 우리땅!! 백두산도 우리땅!! 고구려는 우리의 조상이자 역사라고~!! ^^*

자~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이번 설치기는 서울 서초구 S고객님의 시스템 설치기입니다.
음악을 좋아하시는 S님께서는 음악 감상할 때는 오래된 오디오가 좋다고 본가에는 빈티지 시스템을 운용하고 계시면서 HT로는 영화를 감상하셨죠.
이번에 개인 영화 감상실 겸 숙소로 편안하게 지내실 수 있는 오피스텔을 마련하셨습니다.
말 그대로 전용룸을 만드신 것이죠.
전용룸을 구축하시면서 빠질 수 없는 프로젝터도 구축을 하셨습니다.



LCD 프로젝터인 소니의 VPL-HS60입니다.
10,000:1의 명함비와 1200안시의 밝기로 뛰어난 영상을 발휘하는 프로젝터죠.
역시 자연스럽고 뛰어난 색감은 DLP도 무참하게 밟아버렸죠.

프로젝터의 영상 케이블은 천정으로 매립을 해서 깔끔하게 설치하였습니다.
별도의 인테리어는 하지 않고 벽지만 새로 도배를 하셔서 케이블 매립시 많은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몰딩을 사용하는 방법은 원하지 않으셔서 매립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다행히 일반 아파트와 다르게 천정에 공간이 좀 있어서 그 나마 쉽게 작업을 할 수 있었습니다.



프로젝터와 매칭한 스크린은 뷰텍의 엘레강트 16:9 전동형 103인치를 선택하셨습니다.
엘레강트에 대해 간단히 설명을 드리자면 게인 1.0의 화이트 원단으로 무난한 홈시어터용 스크린입니다.
가격은 100만원 중반대로 주로 비교되는 모델이 OS사의 퓨어 매트입니다.
OS의 퓨어 매트가 200만원 중반대인 것을 감안하고 비교를 한 결과 거의 같은 급의 화질을 재현해 주었습니다.



지금 AVPLAZA에도 뷰텍의 액장형 스크린인 브라이트 화이트와 OS의 퓨어 매트를 동시에 비교한 결과 눈으로는 차이를 느끼지 못하고 있습니다.
역시 뷰텍이라는 스크린이 가격대에 비해 뛰어난 화질을 자랑한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습니다.

이번에 오피스텔로 시스템을 이전하시면서 많이 신경쓰신 부분이 바로 인테리어의 조화입니다.
이번 인테리어의 핵심은 바로 블랙인데요. 가구 등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모두 블랙으로 통일하셨고 스피커 역시 블랙, 스크린 역시 블랙, 모니터 역시 블랙으로 깔끔하고 심플한 인테리어적 요소를 겸비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JBL HT 시리즈



HT 시리즈는 JBL의 시네마 시스템인 신세시스의 막내 모델입니다. 막내 모델이라 해도 HT 풀 시스템의 가격은 6000만원대로 상당한 고가의 시스템이죠.
신세시스의 전 모델은 앰프와 스피커, 전용 EQ까지 풀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단품 판매가 불가능 합니다. 하지만 이 HT 시리즈만이 단품 판매가 가능합니다.
신세시스의 상급 라인으로 시스템을 구축하게 되면 하만 그룹의 엔지니어가 직접 비행기 타고 와서 세팅을 해 준다니 이 서비스 또한 대단하다고 할 수 있겠죠.
이제 얼마 있으면 국내에도 신세시스의 전 라인업이 소개되니 많은 관심을 가져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JBL HT시리즈의 메인스피커인 HT4V는 THX ULTRA 인증을 받은 스피커로 영화 감상에 최적화 된 스피커입니다.
(THX 규격이란? 영화 제작자가 의도하는 영상, 음향을 청자에게 전하기 위한 종합적인 규격으로 미국 루카스 필름사에 의해 정해졌습니다. 제작자의 의도를 극장에서 충실히 재현하기 위해 레벨이나 노이즈, 잔향음, 스피커의 설치 위치까지 엄격한 품질 기준을 정해 놓은 것이죠. 고로 스피커가 THX 인증을 받았다 함은 THX가 요구하는 조건으로 스피커를 제작한 것입니다. 그 중 THX ULTRA는 홈 THX의 규격으로 3000큐빅피트(ft3) 이상의 리스팅 룸으로 상정되어 홈시어터를 구성하는 기기에 적용되는 규격입니다.)



센터 스피커인 HT4H는 HT4V를 센터용에 맞게 지향각은 변경하고 음압을 높이는 것으로 좀더 정확한 대사 전달력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이 HT4V와 HT4H는 가상 동축형 2웨이 3스피커로 트위터는 바이레디얼 혼을 장착하고 있습니다.
이 바이레디얼 혼은 퓨어 티타늄 돔 트위터이면서 혼을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 돔형 트위터와는 좀 다른 지향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여기서 잠깐!! JBL의 기술력은 역시 제품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가정용 스피커의 모티브가 되고 있는 PA 제품으로 공연용 투어 스피커인 VERTEC 시리즈가 그 큰 예입니다. 이 VERTEC 스피커의 특별한 디자인은 같은 앰프의 파워로 고역의 출력을 약 2배로 늘릴 수 있는데, 고역이 뿜어져 나오는 입구에서 약 3dB의 음압이 증가되게 됩니다. 이 3dB의 수치가 얼마되지 않을 것 같지만 스피커의 음압을 3dB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앰프의 출력을 두 배로 증가시켜야 합니다. 따라서 10W와 20W, 100W와 200W간의 음압 차이는 3dB로 동일하죠. 같은 출력으로 2배의 소리를 낼 수 있는 JBL의 기술… 역시 세계 최고의 스피커 브랜드임이 틀림없습니다.)



리어 스피커로는 JBL의 컨트롤 1이 사용되었습니다. 가장 만만한 스피커죠. 일반 가정 및 야외, 음식점 등 다용도 스피커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크기에 맞지 않게 상당한 양의 저역과 시원한 고역, 여기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브라켓을 사용할 수 있어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베스트 스피커입니다.



리시버는 야마하의 RX-V1500입니다.
7.1채널 리시버로 120W의 정격 출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야마하만의 음장 모드로 다이나믹하고 박진감 넘치는 사운드로 많은 사용자층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YMPO 기능을 갖추고 있어 지동 설정이 가능하지만 역시 사람의 손을 거치는 것이 정밀한 설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메뉴얼 셋팅을 하실 것을 권해 드리고 싶네요.



DVD플레이어는 마란츠의 DV-6600으로 저렴한 가격에 HDMI 출력과 업스케일링 기능을 갖추고 있는 유니버셜 플레이어로 인기있는 플레이어입니다.
깔끔한 인터페이스와 간단한 사용으로 사용성에 있어서도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고 슬림한 크기 역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S님께서는 페라리를 좋아하셔서 페라리의 모형을 진열장에 진열해 놓으셨는데 다 모아놓으니 웬지 페라리를 다 가진듯한 느낌이 들더군요? ㅎㅎ
지금 하시는 일이 레스토랑 컨선턴트로서 맛에도 아주 일가견이 있으십니다. 그래서 그런지 설치가 끝나고 맛있는 집을 추천해 주시더군요.
갈비탕을 잘하는 집을 안내해 주셨는데 역시 전문가의 입맛은 믿을만 했습니다.



오래동안 인연을 맺어 주신 S님께 심심히 감사의 말씀드리구요. 앞으로도 좋은 영화 많이 감상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WWW.AVPAZA.CO.KR
ⓒ AVPLAZ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