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동 고객님의 JBL PROJECT ARRAY 멀티 시스템 구축기

서초동 고객님의 JBL PROJECT ARRAY 멀티 시스템 구축기

이번 설치기는 서초동에 거주하시는 고객님의 멀티채널 홈시어터, 하이파이 시스템 구축기입니다.
시스템 구축에 사용된 스피커는 JBL이 2006년 6월에 출시하고 국내에 7월에 처음 수입된 JBL PROJECT ARRAY 스피커 시스템입니다.
JBL PROJECT ARRAY는 JBL이 5년 만에 출시하는 최고급형 시스템에 사용되는 PROJECT 시리즈이며 기존의 PROJCET K2 9800, 5800 이후에 출시한 시리즈입니다.
기존 PROJECT 시리즈보다 컴팩드하면서 JBL의 트레이드마크라고 할 수 있는 혼 드라이브와 슈퍼트위터를 장착하고 있으며 대구경 우퍼 유닛을 장착하고 있으면서도 보다 컴팩트한 느낌을 가지고 있는 제품입니다.
기존의 PROJECT 시리즈의 성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보다 합리적인 가격대에 그리고 넓은 공간이 아니더라도 보다 현실감 있는 실황에 가까운 사운드를 만드는 것이 ARRAY 시리즈의 목표입니다.
ARRAY 시리즈는 JBL의 전설적인 디자이너이자 엔지니어인 Greg Timbers에 의해 만들어진 제품입니다.
Greg Timbers는 JBL의 전설적인 명기인 43XX시리즈와 44XX시리즈 그리고 K2 9800, 5800, 9500등등 의 수많은 JBL의 명기들을 만들어낸 이 시대의 최고의 엔지니어입니다.
그만큼 이번에 출시한 JBL PROJECT ARRAY시리즈에 JBL에서는 많은 기대를 하고 있으며 그만큼의 많은 물량과 투자를 아끼지 않았습니다.

또한, 고객님께서는 하이파이와 AV를 병행 하시기 위해 별도의 AV 프로세서, 멀티채널 파워앰프 이외에, 하이파이 인티앰프와 CDP를 이용하셔서 하이파이 시스템도 구축하셨습니다.
인티앰프의 바이패스 기능을 활용하셔서 HIFI인티앰프의 역할 뿐 아니라 멀티채널의 파워앰프도 겸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자 이제 JBL의 신형 PROJECT ARRAY 시스템을 하나하나 찬찬히 살펴 볼까요~!



프런트 스피커로 사용된 제품은 JBL PROJECT ARRAY 1000입니다.
ARRAY 시리즈에는 1200, 1000, 800 3가지 종류의 프런트 스피커가 있으며 그중 중간모델입니다. 1200은 국내환경에서 사용하기에는 너무 큰 크기 때문에 이번 수입분에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별도의 주문이 있다면 구매도 가능합니다만, 아직은 국내에는 ARRAY 1000 모델이 가장 큰 모델입니다.
ARRAY 1000은  3웨이 플로어 스탠딩 형식의 스피커입니다. 10″ (250mm) polymer-treated 펄프 콘 드라이버와 1-1/2″ copper edge-wound voice-coil을 사용 하였으며 045Ti 1″ 압축 티타늄 드라이버와 175Nd-3 1-3/4″ Aquaplas-treated 알루미늄 돔 드라이버를 채용하였습니다.
JBL ARRAY시리즈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바로 혼 드라이브와 슈퍼트위터 입니다.



40khz까지 재생이 가능한 Array 스피커의 수퍼 트위터는 일반적인 트위터와는 다르게 음의 확산 범위가 넓기 때문에 가구나 벽 등의 장애물 위치와 관계 없이 설치가 용이해 졌습니다.
SACD나 DVD AUDIO 와 같은 멀티채널 음반이 대세를 이루는 요즘 40khz까지 재생해 주는 트위터는 Array 스피커의 큰 장점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간이 느낄 수 있는 주파수 범위는 20khz까지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 가청 주파수 대역을 넘어 재생해 주는 Array 스피커의 트위터는 보다 더 맑고 해상력이 뛰어난 사운드를 재생해 마치 공연장이나, 영화 속 그 자리에 위치해 있는 것과 같은 착각을 불러 일으킵니다.



직진성이 뛰어난 트위터는 웅장하고 현장감 높은 사운드를 재생하며 혼 트위터와 반응 속도가 빠른 우퍼의 대역 밸런스가 뛰어난 것이 특징입니다.
세로로 제작된 SonoGlass는 일정한 간격으로 견고하게 혼 파트를 감싸고 있으며 60도에서 30도 각도로 펼쳐져 있습니다.

JBL 의 전통 제조 방식에 따라 우퍼 드라이브의 제작은 견고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졌으며 우퍼와 인클로져를 이어주는 고무는 내구성이 굉장히 뛰어나게 제작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공진이 현격히 줄어들었으며 고품격의 깊고 단단한 저역을 재생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사다리꼴 형태의 인클로져는 진동을 최대한 억제 할 수 있도록 무겁고 견고하게 제작되었습니다.
우퍼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혼 파트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최대한으로 억제하여 중고역의 회절을 방지한 것이 ARRAY 스피커의 특징입니다.
ARRAY의 인클로져는 다부지고 견고했었던 예전 JBL의 베스트셀러 모델을 그대로 계승하였을 뿐 아니라 더욱더 발전시켰다고 자부하고 있습니다.



스피커만큼 중요한 것이 스피커 케이블입니다.
아무리 좋은 스피커를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앰프에서 스피커로 신호 전달중 스피커 케이블에서 신호의 손실이나 왜곡이 발생한다면 아무리 좋은 스피커라도 완벽한 원음재생은 불가능한 일입니다.
이런 이유에서 스피커 케이블이라 없으면 없을수록 좋은 일이라고 생각이 되지만 현실적으로 스피커 케이블이 없이 스피커와 앰프의 연결은 불가능합니다.
스피커 케이블의 본연의 목적은 앰프에서 재생한 원음을 스피커로 손실과 왜곡 없이 전달해주는 일이 스피커 케이블의 가장 중요한 목적입니다.
하지만, 일반 사용자들은 스피커 케이블로 인하여 소리가 좋아지거나 나빠지거나 하는 것을 느끼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것은 스피커 케이블 때문에 소리가 좋아지거나 나빠 진 것이 아닌 얼마나 원음을 스피커로 전달하느냐에 따른 변화라고 생각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무리 좋은 스피커 케이블도 원 소스가 좋지 못하다면 좋은 소리를 스피커로 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스피커 케이블은 완벽한 원음을 절달하기 가장 이상적인 제품을 선탁하시는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말이 쉽지 왜곡 없이 절달가능한 케이블이란 쉽지 않습니다.
쉽지 않은 만큼 이를 위한 수만은 비용을 지불하는 것이 사실 입니다. 이런 관점에서 오디오퀘스트사가 가지고 있는 철학은 오디오 매니아에게 시사하는 점이 많습니다.
가장 이상적인 케이블을 위해 가장 왜곡 없는 케이블을 만들겠다는 오디오퀘스트사의 철학은 이러한 이상으로 인하여 지금의 명성과 찬사를 받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이번에 사용된 케이블은 오디오퀘스트사의 상급모델인 PIKES PEAK 모델입니다.
미국 본사에서 터미네이션된 완성품으로 32V DBS베터리를 장착하고 있습니다.
일반인들은 왜 스피커 케이블에 32V나 되는 전류를 흘리느냐고 의아해 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이는 스피커 케이블이 신호전달중 불필요하게 생긴 자기장을 제거하기 위해 고안된 방식입니다.
이론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참 어려운 이야기라 나중에 자세히 한번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센터 스피커는 JBL의 PROJECT ARRAY 880입니다.



아마도 국내에 수입되는 센터 스피커 중에 크기 면에서 이보다 큰 센터 스피커가 있을까 생각합니다.
ARRAY 880 센터스피커는 메인스피커와 같은 3웨이 센터스피커로 듀얼 8C 8″ (200mm) polymer-treated 펄프 콘 드라이브와 1-1/2″ copper edge-wound voice-coils, 그리고 the 045Ti 1″ 티타늄 드라이버와 435AL 3″ Aquaplas-treated 알루미늄 돔 드라이브를 채용한 것이 특징입니다.
메인스피커와 센터스피커의 벨러스 차를 최소로 하고 최고의 벨런스와 다이네믹한 사운드 재생을 위해 이 커다란 센터 스피커가 탄생하였습니다.
일반적인 센터 스피커에 비해 2~3배 큰 센터스피커는 위 사진의 50인치 PDP나 아래 앰프와 비교해 보면 그 크기를 가늠해볼 수 있으실 것 같습니다.




서브우퍼 스피커는 JBL PS1400 액티브 서브우퍼 입니다.



PROJECT ARRAY 시리즈의 전용 서브우퍼가 있지만 아직 수입계획이 없습니다. 그래서 대안으로 가장 이상적인 매칭이라고 할 수 있는 PS1400 액티브 서브우퍼를 설치해드렸습니다.
아마도 이 제품 역시 국내 처음 선보이는 제품인 것 같습니다.
14인치나 되는 대구경 유닛에 강력한 저역 출력이 특징인 제품입니다.
국내에서 수입되는 JBL 액티브 형 서브우퍼중 가장 상급 모델이기도 합니다.



전면스피커는 이 정도로 말씀드리고 기기들을 하나씩 살펴 보기로 하겠습니다.
전면에 배치된 기기는 AV프로세서인 ROTEL 의 RSP-1098 프로세서와 RMB-1095 멀티채널 파워앰프 그리고 MBL사의 7008인티앰프 입니다.
소스기기로는 캠브리지 오디오의 DVD89 와 ARCAM의 CD73T 로 구성을 하였습니다.
프로세서나 앰프에 비해 소스 기기들이 구성이 좀 떨어지는 편이지만 예산상 추후 업그레이드를 감안하시고 선택하신 조합이십니다.

기기들을 하나씩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AV프로세서의 ROTEL RSP-1098 AV프로세서



Rotel의 RSP-1098 AV 프로세서/프리 앰프는 모든 것을 훌륭하게 통합시켜 줍니다. 어디에나 잘 어울리는 심플한 외양과 결합된 탁월한 성능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이 제품의 안정된 설계 철학은 “최고의 제품 생산에 항상 최고의 비용이 드는 것은 아니다” 라는 당사의 굳은 신념에서 오는 물리학, 전기공학등의 관련 분야의 정연한 통합에서 시작됩니다.
제품 전면을 언듯 보아도 느낄 수 있듯 RSP-1098은 매우 특별합니다. 난잡한 조절 버튼이나 노브, 난해한 기호대신 전원만 켜면 작동되는 컬러 LCD화면이 장착되어 있으며 2개의 메인 노브와 6개의 작은 버튼이 간결하게 배열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기계 조작을 겁내거나 서투른 사람들도 쉽게 RSP-1098의 성능을 만끽할 수 있게 해줍니다.
동시에 정교하고 예민한 사용자들도 기존 프로세서 성능을 크게 능가하는 수준급의 컨트롤 운영 및 시스템에 맞는 설정과 조작의 편리함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
RSP-1098이야말로 진정한 Rotel의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Rotel이 만든 트로이달 듀얼 트랜스포머와 low-ESR 전원부 평활 컨덴서 및 디지털과 아날로그부의 분리 등 로텔의 핵심 기술들이 집약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로텔 RSP-1098의 lcd는 TFT-LCD로 메뉴만을 볼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서 모니터링이 가능할 정도의 화질을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서 메인 화면에 OSD를 띄우지 않고서도 설정을 할 수 있고, 또한 여러가지 다른 소스를 프로세서에서 모니터링 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기존 로텔의 제품에 비해서는 고가이지만, 타사의 LCD를 장착한 프로세서에 비해서는 너무나 저렴한 가격입니다.
로텔의 밸런스 디자인 전통과 최신의 기술을 접목시켰습니다. 32-b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인 시러스 로직 CS49400의 채용으로 Dolby Digital EX, Dolby Pro Logic II, DTS ES (matrix and discrete), DTS 96/24, and DTS Neo:6 같은 최신의 포멧을 지원합니다. 또한 HDCD나 MP3 지원은 물론이고, 어떤 소스라도 가상으로 7.1채널로 즐기실 수 있는 사라운드 모드도 지원합니다.
로텔 RSP-1098은 또한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신호를 지원하기 위한 인터넷을 통한 펌웨어 업그레이드가 가능합니다.


멀티채널 파워앰프 ROTEL RMB-1095



Rotel의 RMB-1095는 앰프 설계에 있어 Rotel의 기술력이 놀랍도록 훌륭하게 실현된 제품입니다.
그 의도와 목적에 있어 RB-1080 스테레오 파워앰프의 멀티채널 버전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미 업계에서 이 가격대에 가장 훌륭한 앰프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채널 당 200W의 출력 파워를 자랑하는 RMB-1095의 전원공급장치는 Rotel이 만든 2개의 1.2kVA용량의 트로이달 트랜스포머를 장착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이내믹한 사운드를 전혀 손실되지 않고 재생가능하도록 15,000 ㎌이상의 에너지 저장이 가능한 영국제 BHC Slit Foil 캐패시터 8개와 150W, 15 amp의 출력석이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전면 패널의 LED에 표시되는 정교한 과전류 보호회로는 구동상의 잠재적 장해요소로부터 앰프를 보호해 줍니다. 또한 특수 전류흡수장치를 장착하고 있어서 작동중 서지(전압/전류의 동요현상)현상을 최소화 시켜줍니다.
여기에 금도금 밸런스 XLR 단자와 언밸런스 RCA단자를 통해 다양한 컨트롤러 및 프리 앰프와의 연결이 용이하고 뒤쪽의 바퀴와 단자 보호용 다리는 앰프의 설치 및 위치선정을 용이하게 해줍니다.


DVD플레이어는 캠브리지 오디오 DVD89



DVD플레이어는 캠브리지 오디오 DVD89 입니다. 앰프나 시스템에 비해 좀 저렴하다고 생각하실 수 있는 조합입니다.
하지만, 지금 출시되고 있는 DVD 플레이어 중 가장 가격 대 성능이 뛰어난 제품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더구나 좀 있으면 찾아올 블루레이나 HDDVD같은 차세대 포멧을 생각한다면 DVD플레이어에 너무 많은 돈을 드리는 것도 현명한가에 한번 생각해 볼만 할 것 같습니다.
같은 ROTEL의 DVD플레이어라면 더 좋겠지만 ROTEL의 신형 DVD플레이어는 아직 수입계획이 없는지라. 구형 제품은 기능적이나 가격적으로 적당하지 않다 생각했기 때문에 가장 가격 대 성능이 우수한 제품을 추천 드렸습니다.
캠브리지 오디오 DVD89는 HDMI, DVI 출력과 1080i업스케일링 그리고 SACD,DVDAUDIO등의 재생이 가능한 유니버셜 플레이어 입니다.


하이파이를 위한 2채널 시스템 구축 MBL 7008 인티앰프



MBL의 새로운 걸작으로서 음질에 대한 어떠한 타협사항도 없는 컴팩트한 사이즈의 우아한 오디오 재생 시스템을 원하는 모든 음악애호가가 바라는 바를 충족시켜 줍니다.
mbl 7008의 파워 부분은 2개의 개별적인 파워 보드(power board)를 사용하여 더블 모노(double-mono) 구조로 설계되었습니다.
최적의 작동을 위해서 열을 분산 시키는 ‘heat-sink’가 상판에 장착되어 있으며 이 설계로 인해 단거리 신호 통로와 내부에서 온도에 의한 왜곡현상이 가장 낮게 나타나는 기온의 영역생성이 가능한 것입니다. 파워 앰프 스테이지 운영에 대해 놀랄 것이며 실제적으로 무한대의 엄청난 용량의 파워를 지닌 것처럼 느껴질 것입니다.
두 번째 놀랄 일은 제품 전체적으로 왜곡현상이 적고 남아있는 것은 오직 아름다운 음악뿐이라는 사실입니다.
이 앰프는 왜곡현상 없이 순수 하이 파이의 음질로 극도로 까다로운 악기들을 재생할 수 있는 보기 드문 앰프 설계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듀얼 모노(dual mono) 설계의 파워 부분과 한 회로 판에 각각 2개씩 장착된 도넛형 토로이드 변압기를 장착하고 있습니다.
특별한 “프로세서/바이패스(bypass)” 입력은 파워 앰프로 하여금 별도의 서라운드 프로세서와 함께 사용 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러한 통합 게인(gain) 커넥션은 서라운드 청취를 위한 파워 앰프의 모든 장점을 동원하여 타협하지 않는 스테레오 청취를 위한 신호 경로의 통합성을 강화해 줍니다.
훨씬 더 엄청난 파워가 요구될 때에는 MBL 인티그레이티드 앰프를 별도의 파워 앰프와 함께 독립적인 프리 앰프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mbl 7008은 아래와 같이 3가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리모컨을 통한 완벽한 원격조정기능을 가진 하나의 ‘인티그레이티드 앰프’.
* 무제한적 잠재력을 지닌 ‘프리 앰프’.
* 별도의 고성능 프리 앰프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순수 파워 앰프’.


디스플레이와 컨트롤 회로는 별도의 전원공급장치와 파워 변압기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력을 공급 받게 되며 이는 잡음으로 인한 오염 발생 위험 요소를 원천봉쇄하기 위함입니다.
최고의 하이파이, 멀티채널 사운드를 위해 MBL의 순수하고 뛰어난 성능을 유감없이 발휘 할수 있는 최적의 인티앰프라 감히 말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CD플레이어는 ARCAM 73T CD플레이어



아캄의 최고의 히트작이라고 할 수 있는 아캄 73T 입니다. 100만원 미만에 CD플레이어중 가장 좋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는 평가와 3년 연속 올해의 CDP상을 수상할정도의 실력기 입니다.
MBL에 인티앰프에 비해 저렴한 제품이지만 이역시 업그레이드를 감안하시고 사용하시기로 한 제품입니다.
성능면에서 고가의 CDP에 비해 부족한 점은 있겠지만 가격을 생각하면 아주 좋은 선택이 되실 것 같습니다.




리어채널에 사용된 JBL PROJECT ARRAY 800 스피커



프런트 스피커로 사용된 JBL PROJECT ARRAY 1000의 아래 모델로 북쉘프 형태라고 하기에는 크기가 크고 플로어스텐딩이라고 하기에는 크기가 작은 약간은 어중간한 크기에 제품입니다.
리어로 사용하는 제품으로는 크기가 아주 큰 형태입니다.
이러한 형태의 스피커가 나온 이유는 센터스피커와 마찬가지로 사운드의 밸런스를 위해서입니다.



리어 스피커로 사용하기에는 부담스러운 가격이기는 하지만 멀티채널 사용시 가장 이상적인 사운드를 위한 필요한 선택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래 ARRAY 스피커 개발자인 Greg Timbers 인터뷰를 읽어보시면 쉽게 이해 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사용된 스탠드는 ARRAY의 전용 스탠드는 아니고 MBL의 121 스피커용 스탠드 입니다. 전용스탠드는 아니지만 ARRAY 800에 딱 정당한 스탠드 입니다.



이번 설치기는 국내에서 처음 소개되는 스피커인 JBL PROJECT ARRAY시리즈의 설치기로 설치 이전에 많은 매칭과 다양한 테스트를 통해 최적의 매칭을 찾아드렸고,
시연실이 아닌 일반 가정에 적용되면서 사운드의 특징들을 파악하여 최적의 조합을 해드렸습니다.

JBL ARRAY 시리즈의 가격은 일반인들이 구매하기에는 다소 부담스러운 가격이자만 이 특별한 스피커의 가치를 알고 있으시다면 비싸다는 느낌은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참고로 JBL PROJECT ARRAY 시리즈의 개발자인 Greg Timbers의 인터뷰를 첨부합니다.









        

나는 오랫동안 JBL의 compression-driver 시스템을 동경해 왔습니다.
최근의 오디오 시스템은 왜곡이 적고 균일한 주파수 응답과 매끈한 디자인, 그리고 일괄적인 사운드가 특징입니다.
하지만 저는 항상 입체적인 사운드를 추구해 왔고 이런 시스템을 제작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습니다.

고품질의 사운드를 재생하는 직접 방사형 스피커들의 특징은 중고역을 담당하는 배플 면적이 작습니다.
배플 면적을 줄여서 이득을 볼 수 있는 점은 회절 현상이 줄어들고 음장이 제대로 맺히며 음상이 뚜렷해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ARRAY 스피커를 제작 할 당시 이 점을 염두 해 두고 중점적으로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클레식 연주회,공연장, 극장에서만 들을 수 있었던 섬세하고, 스팩타클하고 다이내믹한 사운드를 안방에서도 즐길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ARRAY의 혼은 폭이 좁고 세로로 제작되었으며 특수 설계로 인해 음의 왜곡을 줄일 수 있었습니다.
또한 저역을 담당하는 하단 인클로저부와 고역을 담당하는 혼 파트가 독립 설계되어있어 상호 간섭을 최대한 배제하였습니다.
그 중 가장 큰 특징은 혼 파트의 후면 부입니다.
일반적인 스피커의 혼 파트는 후면부가 배플로 감싸져 있지만 ARRAY 스피커의 혼은 베이스 인클로저 부분과 분리되어 있고 후면부가 완전 독립이 되어 있어 스피커의 진동에 의한 음의 흐트러짐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습니다.
그로 인해 정갈하고 단정된 사운드 실현 할 수 있었으며 어떠한 공간에서도 명확하고 다이나믹한 음을 재생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스피커 제조 산업은 빠른 속도로 발전해 왔습니다.
현대 스피커 산업은 전통적인 제조 방식이나 일관된 형태의 인클로져의 제작에서 벗어나 현대적인 공정에 의한 생산과 다양한 형태의 인클로져의 재질과 제작 방식으로 많은 발전을 해 왔습니다.
저역 부분을 담당하는 인클로져 부분은 무겁고 단단한 재질로 제작이 되어서 공진에 의한 음의 흐트러짐을 예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ARRAY의 혼 파트는 고밀도 특수 합성 수지로 제작되었으며 우퍼 인클로져와 마찬가지로 강성의 재질로 단정하고 세밀한 사운드를 실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우퍼 부분의 단단한 인클로져와 위치한 혼 파트의 조합은 음질을 최우선으로 설계된 조합으로 합리적인 가격에 3차원적인 입체 음향을 가정에서 경험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초 저역까지 재생 가능한 ARRAY 스피커의 우퍼 섹션과 고 주파수 대역을 담당하고 있는 혼 섹션의 조화는 정밀한 네트워크로 이루어졌으며 저역과 고역 파트의 네트워크는 완전 분리된 위치에 각각 설계된 것이 특징입니다.
이로 인해 각 주파수 대역간에 간섭을 배제하였고 전대역에 걸쳐 흐트러짐이 없는 사운드를 재생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880 센터 스피커는 여느 ARRAY 플로어 스탠딩 스피커와 똑 같은 형식과 용적으로 제작 하였습니다.
5채널 혹은 7채널 시스템을 전 채널 균일한 성능으로 공연장 이나 극장과 같은 사운드를 안방에서 즐길 수 있게 되었습니다.

스피커 제작자인 제 자신도 5채널 스피커의 사이즈와 가격은 일반인이 접하기에 부담이 되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ARRAY 스피커들의 성능을 생각해 본다면 충분히 납득할 만한 가격으로 책정이 되었으며 사이즈도 우수한 음질과 충분히 타협이 가능하다고 생각 합니다.
ARRAY 5채널 스피커 세트는 제가 여태 것 제작해 본 스피커들 중 상호 매칭이 가장 뛰어납니다.  
각 주파수에 따른 응답 속도나 거리에 따른 딜레이가 전혀 어색하지 않으며 각 채널별로 부족한 부분을 상호 보완 하도록 제작하여 5개의 스피커지만 마치 하나의 스피커에서 흘러 나오는 것 같은 착각을 불러 일으킬 만큼 뛰어난 일체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저는 새로운 ARRAY 가 JBL의 플레그쉽 모델의 전통적인 사운드를 계승하고 보다 더 발전 시켰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ARRAY시리즈의 제작을 마치고 처음으로 테스트 하던 날을 아직도 잊을 수가 없습니다.
그 동안 제가 추구해 왔던 실연에 가까운 사운드와 5개의 스피커에서 나오는 일체감 있는 사운드는 제작 과정에서의 수많은 착오와 실패에 대한 안 좋았던 기억들을 모두 날려 버릴 수 있었으니까요.
스피커 제작에 모든 일생을 받쳐왔던 제게 가장 큰 만족감을 주는 스피커 중 하나인 ARRAY 시리즈는 당신의 삶의 질을 한층 더 풍요롭게 만들 수 있는 좋은 친구가 되어 줄 것 입니다.


                                                                                             Regards,
                                                                                         Greg Timbers
                                                                                         JBL Chief Systems Engineer


JBL 수석 엔지니어  Greg Timbers 씨는 수많은 JBL의 명기들을 디자인한 세계최고의 스피커 엔지니어로 그의 대표작으로는 JBL PROJECT K2 9800을 중심으로한 5800,4800, K2 9500,5500 및 전설적인 명기인 JBL 43XX시리즈 및 44XX 시리즈 등등의 JBL 최고의 명기들을 제작한 제작자 입니다.






















































서초동 고객님이 설치하신 기기들




 


JBL PROJECT ARRAY1000


JBL PROJECT ARRAY800


JBL PROJECT ARRAY880


 




JBL PS1400 서브우퍼


MBL 7008 인티앰프


ROTEL RSP-1098 AV프로세서


 



 


ROTEL RMB-1095 멀티파워앰프


ARCAM CD73T


Cambridge Audio DVD-89


 



 


소닉스랩 S-4400 방진패드


AudioQuest Pikes Peak 스피커케이블


AudioQuest CV-8 스피커케이블


 



 


AudioQuest G-4


AudioQuest VDM-1


Wird World Chroma5 HDMI케이블


 



 


Wird World STRATUS 파워케이블


Wird World Oasis5 인터커넥터


Wird World LUNA5 우퍼케이블





WWW.AVPAZA.CO.KR
ⓒ Hometheater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