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로그인
  • 회원가입
  • 마이페이지
  • 장바구니
  • 위시리스트
  • 고객센터
AV 플라자

AV 플라자

하이파이 / 홈씨어터 전문 쇼핑몰

My Cart 0
Wishlist 0
페이스북 네이버 블로그 인스타그램 네이버 카페 유튜브 네이버 포스트
카카오톡 문의
견적
로그인 가입
home
  • 하이파이
    • HiFi 스피커
      • 톨보이/플로어스탠딩
      • 북셀프스피커
      • 액티브스피커
      • 아웃도어스피커
      • 슈퍼트위터
    • HiFi 앰프
      • 인티앰프
      • 진공관인티앰프
      • 프리앰프
      • 진공관프리앰프
      • 파워앰프
      • 진공관파워앰프
      • 프리파워세트
      • 기타앰프
    • CD/SACD 플레이어
      • CD플레이어
      • SACD플레이어
      • CD트랜스포트
      • 마스터클럭
    • DAC/네트워크플레이어
      • DAC(D/A컨버터)
      • 네트워크 플레이어
      • DAC 내장 앰프
      • 네트워크 내장 앰프
    • 턴테이블/포노앰프
      • 턴테이블
      • 카트리지
      • 톤암
      • 포노앰프/승압트랜스
      • 헤드셀/톤암케이블
      • LP 클리너/브러쉬
      • 레코드액세서리
      • 턴테이블 부품
    • 튜너/인터넷라디오
      • 라디오/튜너
  • 홈씨어터
    • 홈씨어터 스피커
      • 스피커세트
      • 메인/리어스피커
      • 센터스피커
      • 서브우퍼
      • 세틀라이트스피커
      • 사운드바
      • 매립형스피커
    • AV리시버/AV앰프
      • AV앰프
      • AV프로세서
      • AV파워앰프
      • 프로세서+파워앰프
    • 블루레이/DVD플레이어
      • Bluray플레이어
    • 프로젝터/스크린
      • 홈시어터프로젝터
      • 업무용프로젝터
      • 전동스크린
      • 수동/액자스크린
      • 기타
  • 라이프스타일
    • 라이프스타일 오디오
      • 미니앰프/리시버
      • 미니오디오
    • 헤드폰/이어폰
      • 헤드폰
      • 이어폰
      • 헤드폰앰프
    • PC-FI 오디오
      • 액티브 스피커
      • PC-FI 패키지
  • 액세서리
    • 오디오케이블/액세서리
      • 스피커 케이블 (완성품)
      • 스피커 케이블 (벌크)
      • 인터커넥터 케이블
      • USB 케이블
      • 네트워크 케이블
      • HDMI/영상 케이블
      • 광/동축 디지털 케이블
      • 커넥트/젠더/단자
      • 노이즈필터/접지
    • 전원장치/파워코드
      • 파워 케이블
      • AVR/멀티탭
    • 장식장/스탠드
      • 오디오/AV 랙
      • 스피커스탠드
      • TV랙/기타랙
      • CD/DVD/LP 수납장
    • 룸튜닝/방진재,슈즈
      • 방진재/슈즈
      • 룸튜닝재
    • 레퍼런스 음반
      • CD/SACD
      • LP
  • 패키지상품
    • 입문 (200만원이하)
    • 중급 (200~1000만원)
    • 고급 (1000만원이상)
    • 홈씨어터 패키지
      • 중급 (200~1000만원)
  • 세일/이벤트
  • 중고/전시품
  • 웹 진
    • 시스템 설치기
    • 제품 설치기
    • 하드웨어 리뷰
    • 소프트웨어 리뷰
    • 오디오 뉴스
    • 오디오 가이드/팁
  • 보상판매
  • 가격흥정
  • 온라인 상담
  • 시스템 설치기
  • 제품 설치기
  • 하드웨어 리뷰
  • 소프트웨어 리뷰
  • 오디오 뉴스
  • 오디오 가이드/팁
  • 보상판매
  • 가격흥정
  • 온라인상담

오디오 가이드/팁

DSD 파일 포맷의 종류를 알아봅시다.

No.42
작성일 : 2020년 5월 12일

SACD에서 DSD 파일로 이어지는 진화DSD 포맷을 살펴보기 전에 그 기원이라고 할 수 있는 SACD(Super Audio CD)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SACD는 1999년 5월 21일 탄생했습니다. SACD는 최대 100kHz의 광대역 재생, 가청 대역 안에서 120dB 이상의 다이내믹 레인지 등 막강한 사양으로 CD를 뛰어넘는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로 태어났습니다. SACD는 모두 3종류의 디스크가 있는데, 기본적으로 SACD 재생 레어어만 제공하는 싱글 레이어 디스크가 있으며, SACD 레이어를 2개 층으로 구성한 듀얼 레이어 디스크, SACD 레이어와 CD 레이어를 모두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디스크가 그것입니다. 하이브리드 SACD는 필립스(Philips)가 주도적으로 개발하였습니다. 또한 SACD의 최대 수록 시간은 CD(8 ···

더 보기

[하이파이] 파워케이블과 멀티탭을 다스리면 음질이 보인다.

No.41
작성일 : 2019년 2월 26일

하이파이 오디오를 어느정도 즐기다 보면 언젠가는 반드시 마주치는 문제가 하나 있다. 바로 가정내 인입되는 전기 사정에 대한 문제인데, 음질은 물론 안전과도 직결되는 것이기 때문에 비 오디오인이라고 할지라도 상식 차원에서 알아두어야 할 것들이 몇몇 있다. 물론 우리의 하이파이 오디오 제품들은 이 전기사정에 제법 민감한 편이고, 반대로 이야기하자면 전기를 어떻게 트리트먼트 해주느냐에 따라 추가금 없이 의미있는 음질 향상을 꾀할수도 있는 노릇이다. 오늘은 그 중에서 위상이라는 개념을 다루는 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리가 오디오제품을 연결해 쓰는 가정용 220V/60Hz 전원은 그 전압 그대로 사용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오디오 제품들은 내부에서 50V미만의(통상 12V나 15V, 진공관 앰프 제외)저전압 직류를 필요로 한다. 즉 전압 강하가 필요하며 ···

더 보기

[하이파이] 220V 플러그 돌려꽂기 신공, 이유는 알고나 해보자.

No.40
작성일 : 2019년 2월 26일

220V/60Hz의 벽체 인입 전류가 극성(polarity)을 가지고 있다는 이야기는 많이들 들어보셨을 터. 조금 더 전기에 대해 아는 분들은 극성이라는 말보다는 상(Phase)이라는 용어가 정확하다고들 한다. 하지만 오디오 파일들에게 익숙한 "교류의 극성"이라는 단어를 조금 더 편하게 쓸 수 있기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교류 극성이라는 제목과 주제를 놓고 몇 가지 이야기를 풀어내고자 한다. 벽체 콘센트(혹은 멀티탭)에 220V 플러그를 180도 "돌려꽂기" 로만 알고 있는 분들이 많을 것이며, 사실 그 정도로도 하이파이 오디오 시스템을 활용하는데 큰 문제는 없다. 그래도 그 기본 이유 정도는 알고 가면 좋지 않을까 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220V/60Hz 전원이 만들어지는 가장 인근 포인트는 근처 전봇대(주상 변압기)이다. 신도시의 경우 ···

더 보기

[하이파이] 오디오의 혈관, 케이블에 대하여… 케이블 구조만 봐도 음 성향을 알 수 있다?

No.39
작성일 : 2019년 2월 18일

하이파이 오디오 애호가들을 꾸준히 개미지옥으로 끌고 가는 마성의 컴포넌트,바로 오디오 케이블에 대해 잠시 썰을 풀어보고자 한다. 굳이 케이블 무용론이나 거의 기(氣) 수준의 맹목적 신빙을 말하고자 함은 아니다. 어차피 사람은 믿고 싶은 것을 믿기 위해 즉석에서 101가지 이유는 만들어 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니까. 다만 전기적으로는 확실히 검증이 된(오디오적으로 검증은 필자도 어떻게 못 하겠다.) 몇몇 이론들을 살짝 살펴볼까 한다. 우선, 케이블이 "전달자"냐, 아니면 "간섭자"냐 하는 문제를 짚고 넘어가야 할 듯싶다.하이파이 오디오 분야에 적을 두고 있는 케이블 브랜드들이 한결같이(근 20년째 거의 바뀌지도 않는) 주창하는 카피 중 이런 것이 있다. "원음을 손실 없이 그대로 전달하는 블라 블라 블라...." 원음을 손실 ···

더 보기

[하이파이] 인티앰프와 분리형 앰프, 그 애증에 관하여 -2)인티앰프는 분리형 앰프보다 하급인가?

No.38
작성일 : 2019년 2월 16일

위 A클래스 파워앰프의 정격 출력은 채널당 겨우 8W이다. 작은 수치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드라이빙 능력을 가지는 이유를 단순 RMS 정격출력으로만으로 설명할 수는 없다. 지난 글에서는 하이파이 오디오에 사용되는 앰프 형태 중에서 인티앰프와 분리형(프리/파워)앰프의 차이와 유래에 대해 개괄적으로 이야기해보았다. 최초의 하이파이 앰프 제품은 분리 형태였으며 그 기원은 디스토션을 줄이고자 하는 다단계 증폭 방식의 산물이라는 점을 기술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인티앰프라는 것은 단순히 프리/파워를 하나의 몸체에 규합해놓은 것이라는 점도 간략히 새긴 바 있다. 대부분의 하이파이 오디오 브랜드에서 인티앰프의 포지션은 분리형 앰프보다 아랫 라인업인 경우가 많다. 상급과 하급의 차이를 오디오적으로 풀자면 크게 두 가지인데, 출력과 음질이 그것이다. 이 ···

더 보기

[하이파이] 인티앰프와 분리형 앰프, 그 애증에 관하여 -1)굳이 분리형앰프가 존재했던 이유

No.37
작성일 : 2019년 2월 13일

여러분은 인티앰프와 분리형 앰프(프리/파워 앰프)를 어떻게 이해들 하고 계신지... 교과서적으로 접근하자면, 프리앰프와 파워앰프를 합한(Integration)것이 인티앰프(Integrated Amplifier)이다. 그리고 현실적으로 접근하자면 분리형 앰프가 인티앰프보다 고급으로 쳐준다. (하긴 대부분의 하이파이 오디오 제품들은 무언가 분리가 되어갈 수록 고급지고 비싸지는 경향이 있긴 하다.) 분리형 앰프가 왜 더 비싸고, 더 고급이며, 더 소리가 좋은가?이 단순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그리 단순하지는 않은 배경 지식을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하이파이 오디오 분야에서 인티앰프는 분리형 보다 하급으로 쳐주지만, 최초의 앰프 제품은 분리형이 원조이다. 향후에 편의성를 강조한 인티앰프가 출연했던 차례인 것. 앰프(Amplifier), ···

더 보기

[하이파이] 하이파이 오디오, 진동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는?

No.36
작성일 : 2019년 2월 12일

하이파이 오디오라는 것을 처음 시작하는 이들이 의외로 신기해 하는 것이 있는데, 바로 "스파이크"라는 물건이다.작은 원뿔 모양의 이 금속 구조체는 주로 북쉘프 스피커의 바닥에 장착하여 진동을 제어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앰프나 CD플레이어 등의 기기류, 혹은 턴테이블에도 종종 애용되는 음향 악세사리. 스파이크의 원리는 단순하다. 같은 압력(무게)환경에서, 압력 받는 표면적과 최종 압력은 반비례한다는 것. 즉 끝이 뾰족할 수록 누르는 압력은 커지고 압력이 커질 수록 진동은 차단된다는 원리다. 좀 더 쉽게 이야기하자면, 무언가 부르르 떠는 것이 있으면 강한 힘으로 눌러줄 수록 진동은 덜하다는 의미와 비슷하다. 이 스파이크라는 물건은 보통 슈즈라 불리는, 가운데가 움푹 파인 동전 모양의 물건과 한 쌍으로 쓰이곤 한다. 별 거 없고 그냥 바닥이 상 ···

더 보기

[아날로그] 2부 레코드와 아날로그 플레이어의 구조

No.35
작성일 : 2016년 7월 10일

아날로그 조용한 붐일 일고 있습니다. 턴테이블의 회전하는 판을 바라보며 조용히 레코드 바늘을 떨어 뜨리는 ...... 오래된 매니아에게는 아무렇지도 않은 행동도 평소 디지털에 익숙한 젊은 세대에는 신선하게 비치는 것이 아닐까요. 낡고 새로운 아날로그 레코드의 매력에 당신도 꼭 접해 보지 않겠습니까? ■ 아날로그 레코드 어떻게 소리가 나오나요? 우선 아날로그 레코드 란 무엇인가, 그 구조부터 살펴 보자면. 레코드는 지금식으로 말하면 "기록 매체"에요. 음악을 기록하는 것은 모든 아날로그 신호로 이루어지고 있고, 음악 신호의 어떤 복잡한 파형도 그대로 디스크의 소리 홈에 새겨둔것 입니다. 검은 비닐 판에 얇은 홈이 소용돌이처럼 줄 지어있는 모습으며, 바늘이 홈을 읽어 드리며 음을 재생하는 형태 입니다. 육안으로도 세세하게 ···

더 보기

[아날로그] 1부 아날로그 레코드와 CD는 어떻게 다른가?

No.34
작성일 : 2016년 7월 3일

최근 음악 재생의 주류는 MP3, FLAC등 디지털 파일형태로 변천해 왔습니다. 음악이라고하면 스마트 폰이나 휴대용 플레이어에서 간편하게 즐길 것이라는 분도 많을 것입니다. 하지만, 지금 그런 젊은 사람들 사이에서 서서히 고조되고있는 것이 "아날로그 레코드의 인기입니다. 레코드는 보기 좋고 듣기 좋고 만져 좋고! 검은 윤기의 LP판 (빨강, 파랑, 노랑 등의 색 LP도 있습니다.) 큰 재킷은 왠지 신선하지 않습니까? 이 연재에서는 아날로그 레코드에 관심은 있지만, 어떤 것인지 잘 모르겠다! 어떤 식으로 쓰면 좋은 것인지 알고 싶다! 분에게 기본 중의 기본을 알기 쉽게 설명하고 싶습니다. 왜 LP 를 「아날로그」라고 말하는가? 지난 몇 년 서양을 시작으로 한국에서도 아날로그 인기가 부활하고있습니다. 레코드 출하량도 빠르 ···

더 보기

[하이파이] LINN DS 오디오 설치, 활용하기 – LINN 네트워크 플레이어 설치, 재생하기

No.33
작성일 : 2014년 1월 27일

LINN DS란?영국 하이엔드 오디오사인 LINN사는 여러 종류의 DS플레이어 가지고 있습니다.DS란 디지털 스트리밍 의 약자로 NAS, PC, 외장하드 및 스마트폰에서 보관하고 있는 고음질 음원을 네트워크(LAN)을 사용하여 즐기는 것을 말합니다. 기존 저장장치인 CD등의 개념을 뒤엎는 최고음질 음악재생과 집안 어디에서라도 원하는 곡을 선택하여 들을 수 있는 편리함의 양면을 갖는 소스 컴포넌트 입니다.즉 PC의 파일형태로 저장된 음악을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원하는 음악을 재생한다는 뜻 입니다.그밖에 인터넷 라디오나 Airplay 등 다양한 기기들의 활용이 가능합니다.기본적인 LINN DS 오디오의 연결 구성도 입니다. LINN DS에 공유기와 연결된 다양한 소스(PC,NAS,스마트폰) 연결되어 재생한다 LINN DS 연결하기 오늘 연 ···

더 보기

[하이파이] 아날로그와 디지털 – 4부 Digital / Analog 오버 샘플링

No.32
작성일 : 2011년 5월 2일

*D/A오버 샘플링 A/D변환에서 오버 샘플링기술이 사용되었던 것처럼, D/A컨버터의 대부분도 디지털 영역에서의 필터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오버 샘플링기술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D/A변환의 경우는 변환된 신호의 사이에 추가 샘플을 삽입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것은 특수한 필터 기능에 의해 진짜 샘플의 사이에 있는 단차가 추가 샘플에 의해 채워져 전체의 패턴이 조금씩 부드러워지는 것입니다.추가 샘플에 의해 사이가 보완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인터포레이션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D/A오버 샘플링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샘플의 샘플링 레이트는 원래 샘플링 레이트의 배수가 됩니다. 예를 들면 원래 샘플링 레이트가 48㎑인 샘플을 4배 오버 샘플링한 경우의 실질 샘플링 레이트는 192㎑가 되며, 입력 샘플 하나가 보완되어 4개의 샘플이 된 상태가 출력됩니다 ···

더 보기

[하이파이] 아날로그와 디지털 – 3부 Analog / Digital 오버 샘플링

No.31
작성일 : 2011년 5월 2일

* A/D오버 샘플링 앞에서 말한 것처럼 정확한 디지털 변환을 하기 위해서는 A/D변환에 앞서 아날로그신호를 로우패스 필터를 통과시켜 밴드 리미트해야만 합니다. 아래의 엘리어싱 부분에서 이야기 했지만 다시 한번 말하자면, 엘리어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필터링처리는 이 경우, 아날로그영역에서 이루어지게 됩니다. 그리고 아날로그 필터에는 필연적으로 위상변위에 대한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로인한 음질 열화도 당연한 것이지요. 이럴때 만약 필터링을 디지털 영역에서 하는 방법이 있다면 아주 좋을 것입니다. 디지털 필터의 알고리즘은 비교적 아날로그 필터와 비교해 상당히 정밀도가 높으며, 음색도 아날로그 필터처럼 과격하게 변화하지 않습니다. 또한 가격이 저렴하다는 경제적인 장점도 있습니다. 그래서 고안된 것이 디지털 영역에서 필터링 처리를 가능하게 한 ···

더 보기

[하이파이] 아날로그와 디지털 : 디지털에 관한 개념 – 2부 양자화 비트수와 다이내믹 레인지

No.30
작성일 : 2011년 4월 13일

안녕하십니까? AVPLAZA 입니다.* 양자화 비트수와 다이내믹 레인지 양자화비트수 또는 비트스는 최대 다이나믹 레인지를 결정하는 요소인 동시에 디지털화에 따른 노이즈양을 좌우하는 대단히 중요한 요소입니다. 다이나믹 레인지란 최소출력신호와 최대출력신호의 비율로 작은 레벨의 배경 노이즈부터 피크 레벨의 포르테시모 사운드까지, 오리지널의 아날로그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신호(이것들을 유효신호라고 부릅니다.)는 이 레인지 안에 들어가 있습니다. 참고로 디지털의 경우의 배경노이즈는 아날로그의 무단계 레벨신호가 디지털의 단계적인 수치로 양자화되었을 때의 오차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므로 양자화에러 라고도 부릅니다. 디지털 오디오의 세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양자화 비트수도 컴퓨터의 세계와 마찬가지로 비트라고 하는 단위에 의해 표현됩니다. 컴퓨터의 세 ···

더 보기

[하이파이] 아날로그와 디지털 : 디지털에 관한 개념 – 1부 DAC & ADC

No.29
작성일 : 2011년 4월 11일

안녕하십니까? AVPLAZA 입니다. 길었던 추위도 가고 이제 슬슬 화창한 봄날이 다가오네요... AVPLAZA 회원 여러분께서도 항상 화창한 봄날 같기를 바랍니다.오늘은 최근 PC-FI 등으로 관심이 많아지는 컨버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뭐, 거창한건 아니구요... 간단한 원리등의 개념입니다.가벼운 마음으로 읽어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의 변환 디지털의 세계는 아날로그의 세계와는 완전히 다른 차원에 있습니다. 디지털은 아날로그처럼 연속 데이터가 아니라 시간적, 수량적으로 나뉘어진 불연속수치가 지배하는 세계입니다.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한다는 것은 본래는 연속적인 신호를 시간단위로 잘라, 각각의 시간단위의 신호량을 단계적인 수치로 바꾸는 것입니다. 이것은 영화를 촬영하는 방식을 예로 들면 훨씬 이해하기 쉬울 것 ···

더 보기

[하이파이] 앰프의 설계 방식 – Class A 방식의 앰프

No.28
작성일 : 2011년 3월 10일

앰프를 설계하는 방식은 제품의 원가, 오디오, 유행의 추세 따위와 많은 관계가 있다. 현재의 트랜지스터 파워앰프는 대부분이 Class B 방식이다. 이것은 시대의 흐름과 밀접한 관게가 있는 것으로 진공관 앰프가 대세를 이루었던 시절에는 앰프들이 Class A. Class B, ClassAB 방식으로 골고루 만들어졌다. Class A가 좀더 나은 음질을 추구하는 방식이라면. Class B는 출력에 더 많은 관심을 둔 방식이고 ClassAB는 하이브리드형을 Class A와 Class B를 절충한 방식이다. 진공관 앰프가 시들해지고 트랜지스터 앰프가 본격적으로 만드어지면서 트랜지스터 회로를 이용한 Class A 방식의 싱글 앰프나 Class B 방식의 PP(푸시풀)앰프가 등장하게 되었다. 트랜지스터 회로의 Class B PP 앰프는 음의 일그러짐이 ···

더 보기

[하이파이] 앰프의 정의와 종류 4부 – 디지털앰프

No.27
작성일 : 2009년 3월 5일

안녕하십니까? AVPLAZA 회원 여러분...벌써 2009년 하고도 3월 입니다. 새해 시작한지 몇일 지나지도 않은 것 같은데... 벌써 3월 입니다. 신년 계획은 잘 지켜가고 있으신지요?세계 경기침체로 많이 힘든 시기 입니다. 마음 다잡고 열심히 하셔서 가내에 좋은일과 평안이 함께 하시기 바랍니다.이번회는 프리앰프에 이어 파워앰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이번 역시 거창한 건 아니고 파워앰프의 종류나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디지털 앰프 디지털 앰프란 신호를 디지털 상태에서 증폭하는 앰프를 말한다.디지털 앰프는 음향신호를 PWM(Pulse-Width-Modulation)이라고 하는 디지털 신호의 한 형태로 변환시킨 다음 이를 증폭하고, 증폭된 PWM신호를 LPF(Low Pass Filter저주파 통과 필터)를 통과시켜 원래의 아날로그 신호를 ···

더 보기

[하이파이] 앰프의 정의와 종류 3부 – 파워앰프

No.26
작성일 : 2009년 1월 28일

안녕하십니까? AVPLAZA 입니다.2009년의 본격적인 시작입니다.구정 명절 연휴는 즐겁고 행복하게 잘 보내셨는지요?눈이 많이 내려 귀성과 귀경길에 고생 많이 하셨을텐데요... 기운 내시고 새로운 한 해 시작 하시기 바랍니다.이번회는 프리앰프에 이어 파워앰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이번 역시 거창한 건 아니고 파워앰프의 종류나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파워앰프 - 바이어스* 바이어스 신문이나 잡지에서 진공관 앰프나 트랜지스터 앰프의 기사속에 바이어스 전압이나 바이어스 전류라는 용어를 보신적이 있으실 겁니다. 이 용어는 자동차 엔진의 아이들링 회전과 마찬가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앰프에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각 진공관이나 트랜지스터의 입구에 가해지는 전압(진공관일 경우) 또는 전류(트랜지스터일 경우)로서, 그 진공관이나 트랜지 ···

더 보기

[하이파이] 앰프의 정의와 종류 2부 – 프리앰프

No.25
작성일 : 2009년 1월 7일

오늘은 저번주에 이어 프리앰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거창한건 아니고 프리앰프에서의 명칭이나 기능등을 알아보겠습니다.프리앰프 * RIAA 특성과 이퀼라이져 앰프 레코드를 재생할 때, 플레이어로부터의 신호를 받는 앰프의 입구가 이퀼라이져 앰프입니다. 이 앰프의 주파수 특성은, 레코드를 만들 때의 반대로 즉, 저음일수록 레벨이 높아지고 고음일수록 레벨이 떨어지는 커브가 됩니다. 그리고 녹음 →재생을 거친 전체로서의 평탄한 주파수 특성이 되도록 합니다.이 커브가 미국의 레코드 공업 협회(RIAA)가 정한 "RIAA 녹음.재생"으로 세계가 통일되어 현재와 같은 레코드가 보급되었습니다.RIAA의 재생커브는 1,000Hz를 기준으로 하여 100Hz가 약 13dB가조되고, 10,000Hz엥서는 거꾸로 13.7dB 약화 시킵니다.이와 같이 이퀼라이져 앰프는 ···

더 보기

[하이파이] 앰프의 정의와 종류 1부 – 서론

No.24
작성일 : 2008년 12월 24일

안녕하세요? AVPLAZA 입니다.이번에는 간략하게 앰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앰프란...재생장치로서의 앰프는 레코드의 그루브로부터, 혹은 카세트 데크나 튜너 혹은 CDP의 신호를 받아 그것을 큰 에너지로 바꾸어, 스피커 시스템에 보내는 앰플리화이어를 간단히 앰프라고 부릅니다.이 장치는 실로 재생장치의 중심이며, 음량을 자유로이 변화시키고, 좋아하는 음질로 맞춘다던가 뜻대로 동작해 주는 것이 바로 이 앰프입니다.그러나 재생되는 음색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큰 것은 아니고, 일반적으로 말하여 20% 전후의 영향력이라 볼 수 있습니다.스피커나 카트리지에 숨어 있는 실력을 100% 발휘하려면 앰프의 양부가 중요하며 이것이 없이는 질 높은 재생은 바랄 수 없습니다. 앰프의 구성 * 이퀼라이져 앰프 (Equalizer Amplifire ···

더 보기

[하이파이] 하이파이오디오 즐기기 – 8탄 스피커편(스피커연결하기)

No.23
작성일 : 2008년 3월 26일

하이파이오디오 즐기기 - 8탄 스피커편(스피커연결하기)드디어 스피커의 연결방법까지 왔습니다.연결이란 단순히 스피커와 앰프를 연결하는 방법입니다만 그것도 하나의 노하우나 방법이 있습니다.스피커단자의 사용법 하나에도 오디오의 기초지식은 필요합니다.+와 -를 잘못하거나 케이블의 연결이 잘못된다면 스피커에서 나오는 신호나 소리가 달라질것 입니다.이전에 설명에서 음악신호의 흐름은 CD플레이어나 LP플레이어처럼 소스에서 앰프로 마지막으로 앰프로 전달되는 과정 입니다.강의 하류로 갈수록 물의 양이 증가하듯이 스피커에는 큰 에너지를 가진 음악 신호가 흘러가도록 되어 있습니다.그 신호를 전달하는것이 스피커 케이블입니다. 때문에 작은 출력 신호를 취급하는 라인 케이블(인터커넥터케이블)과는 역할이 다릅니다.그럼 어떤 주의가 필요할까요?? 케이블의 취급에 있어 주 ···

더 보기

글 탐색

1 2 3 >
  • AVPLAZA 소개

    AVPLAZA(에이브이프라자)는 지난 1999년 창립, 오디오부문 온라인 업계 최초로, 홈시어터 및 하이파이 시청룸을 따로 마련하였으며, 직접 오프라인 숍을 방문해주시는 고객님들께 다양한 기기들과 전문가의 친절한 상담을 받으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전문가와의 편안한 상담 및 대화를 통해 기기문의 및 설치 상담까지 다양한 정보를얻으실 수 있도록 항시 준비를 하고 있으며, 고객님의 성향과 취향에 가장 적합하면서도 가격대비 최상의 시스템을 고르실 수있도록 저희 AVPLAZA가 도와드리겠습니다.

  • 시연실 방문 예약문의 : 02-3472-3955 ~ 6 운영시간
시연실 전경
  • foreground_1
  • foreground_2
  • foreground_3
  • foreground_4
AVPLAZA
  • (주)AVPLAZA |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1588-4 지하 1층
  • 대표이사 : 이상석 | 사업자등록번호 : 214-08-97153 | 사업자정보
  • 전화 : 02)3472-3955,6 | 팩스 : 02)3472-3957
  • 통신판매신고번호 : 서초 제 07143호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이상석
  • 계좌번호: 신한 110-121-720263 / 농협 418-02-294958 예금주: 에이브이프라자(이상석)
  • 여기
  • 이메일 : avplaza@avplaza.co.kr
페이스북 네이버 블로그 인스타그램 네이버 카페 유튜브 네이버 포스트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고객센터